尹, '부산엑스포' 총력전...9월 한 달 60개국 양자회담‧10개 이상 다자회담

2023-09-21 15:29
  • 글자크기 설정

대통령실 "유엔 대표부 양자회담장으로...정시회담 위해 첩보작전"

윤석열 대통령 한·불가리아 정상회담
    뉴욕연합뉴스 진성철 기자  제78차 유엔 총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뉴욕에서 무멘 라데프 불가리아 대통령과 한·불가리아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2023921 공동취재
    zjinynacokr2023-09-21 072044
저작권자 ⓒ 1980-2023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저작권자 ⓒ 1980-2023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제78차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뉴욕에서 무멘 라데프 불가리아 대통령과 한·불가리아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023 부산 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를 위해 9월 한 달 동안 60개국과 양자회담을 추진하고 10개 이상의 다자회담을 치르는 '초강행군'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은 '세계 외교사에서 없었던 초유의 일'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은 2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현지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하고 "윤 대통령은 이날 스위스,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키르기스스탄, 모리타니, 콜롬비아, 헝가리, 이스라엘, 태국, 불가리아, 그리스, 에스와티니 등 총 11개국과 양자회담을 가졌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방미 첫날인 18일 스리랑카, 산마리노, 부룬디, 체코, 덴마크, 몬테네그로, 투르크메니스탄, 세인트루시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등 9개 국가와 양자회담을 했고, 19일에는 코트디부아르, 가나, 모나코, 레소토, 수리남, 벨리즈,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의 정상급 인사들과 만났다.
 
남은 순방기간에도 세인트키츠네비스, 에콰도르, 시에라리온, 북마케도니아, 네팔, 기니비사우, 슬로베니아, 아이티, 이라크, 세르비아, 세인트빈센트그레나딘, 파라과이 등 12개 국가와 추가 양자회담을 갖고, 복수의 국가들과 오·만찬 일정 등을 소화한다.
 
뉴욕에 머무르는 4박 6일간 총 40개국과 양자회담을 하는 셈이다. 지난 5~11일 인도네시아·인도에서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와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계기에 20개 양자 정상회담을 한 것을 포함하면 9월 한 달간 60개국과 양자회담을 하게 됐다.
 
김 차장은 "유엔총회 계기에 각국 정상들과의 양자회담은 내용과 형식 면에서 치밀하게 검토한 전략에 따라 만들어진 것"이라며 "우선 부산엑스포 유치를 우선적으로 고려해 양자회담 상대 국가를 선별했다"고 설명했다.
 
2030엑스포 개최국을 결정하는 오는 11월 프랑스 파리 BIE(국제박람회기구) 총회를 앞두고 투표권이 있는 189개국 중 유엔총회 기간 협력관계를 끌어올릴 수 있는 국가들 위주로 교섭을 했다는 것이다. 실제 수교 후 첫 정상회담을 하는 국가들도 10여 개국에 달한다.
 
또한 김 차장은 "선정 후에는 이들을 정식 양자회담으로 만날지, 더 세심하게 오랜 시간을 만날 1대1 오찬으로 진행할지, 그룹별 만찬이나 오찬을 추진할지, 제한된 시간 속에서 최대한 우리가 원하는 결과와 효율을 도출할 수 있게 심사숙고해 만남의 형태를 결정했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의 '초강행군' 배경에는 외교 실무진들의 '첩보작전'에 준하는 노력이 있었다.
 
유엔 본부 앞에 위치한 뉴욕 대한민국 대표부를 '양자회담장'으로 탈바꿈하고, 회담장을 2개 이상 설치해 연속 회담이 가능토록 했다. 윤 대통령이 한곳에서 양자회담을 하는 사이 다른 곳에서는 회담장 단장을 하는 방식이다. 양자회담 일정이 밀리거나 겹치지 않도록 의전 요원들이 일대에 파견돼 상대국 정상을 제시간에 모셔오는 첩보작전을 하루 종일 수행했다.
 
한편 순방 직전 대통령실이 예고했던 '역대 최다 양자회담 기네스북 등재'는 현실화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정치외교 등 정무 문제는 기네스북에서 등재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한 달간 60개의 양자회담과 10개 이상의 다자회담을 치른 경험은 지난 100년간 세계사에서 없었던 것은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