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는 19일 이 같은 내용의 '9월 중간 경제전망'을 발표했다. OECD는 매년 6월과 11~12월 OECD 회원국을 대상으로 본 전망을 내놓고, 3월과 9월에는 주요 20개국(G20)을 대상으로 중간 전망을 발표한다.
올해 우리나라 경제 전망치는 종전과 동일한 1.5%를 유지했다. 지난해 6월 한국 경제성장률을 2.5%로 제시했던 OECD는 같은 해 9월 2.2%로 낮춘 뒤 올해 3월(1.6%)까지 재차 내린 데 이어 6월 경제전망에서 1.5%로 하향 조정한 후 이번엔 그대로 유지한 것이다.
이는 우리 정부 전망치(1.4%), 한국은행(1.4%)보다 높고 한국개발연구원(KDI·1.5%)과 같은 수준이다.
국내 물가상승률 전망도 기존 3.4%를 유지했다. 이는 한국은행의 물가 안정 목표치인 2%를 웃도는 수치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우리 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4대 경제권(미국, 중국, 유로존, 일본) 중 미국과 일본은 각각 직전 전망 대비 0.6%포인트, 0.5%포인트 상향했고 중국, 유로존은 각각 0.3%포인트씩 하향해 우리 경제성장률이 직전 전망을 유지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올해 세계경제성장률 전망은 3.0%로 연달아 높여 잡았다. 앞서 OECD는 지난 3월 전망에서 2.6%, 6월 전망에선 2.7%를 제시했었다.
OECD는 미국·일본·브라질 등 국가들의 당초 예상보다 양호한 상반기 성장률을 반영해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을 상향 조정했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긴축영향 가시화, 기업·소비자 심리 하락, 중국 반등 효과 약화 등으로 내년도 성장률은 기존 2.9%에서 0.2%포인트 하락한 2.7%로 하향 조정했다.
OECD는 세계경제의 하방 리스크가 여전히 크다고 평가했다. 글로벌 금리인상의 역효과가 예상보다 강할 수 있고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장기화될 경우 긴축 강도가 높아지면서 금융부문의 취약성이 노출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글로벌 원자재 시장에서의 변동성 확대, 예상보다 급격한 중국경제 둔화 등도 주요 하방 리스크로 언급했다. 석유·석탄·가스 등 에너지 공급 차질 가능성이 여전한 데다 엘니뇨 현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식량 가격 상승 우려도 상존한다고 진단했다.
이에 OECD는 내재된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할 때까지 통화 정책은 제약적으로 유지돼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 재정 정책의 경우 정부 부채 상환 증가, 고령화·기후변화·국방 등 지출압박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재정여력을 확충하는 데 노력하고 중기 재정계획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공급측 구조개혁도 강조했다. OECD는 잠재성장률 하락과 고령화·기후·디지털화 대응 등을 위한 공급측 구조 개혁과 함께 글로벌 교역을 복원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을 권고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