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 국제영화제를 시작으로 해외 유수 영화제를 휩쓴 영화 '거미집'이 오늘(14일) 베일을 벗었다. 해외 관객들이 먼저 주목한 김지운 감독의 '거미집'이 위축된 한국영화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영화 '거미집'은 1970년대, 다 찍은 영화의 결말만 바꾸면 걸작이 될 거라 믿는 '김열' 감독(송강호 분)이 바뀐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배우와 제작자 등 미치기 일보 직전의 현장에서 촬영을 밀어붙이는 이야기를 담아낸 작품이다.
영화 '조용한 가족' '반칙왕' '장화, 홍련' '달콤한 인생' '좋은놈, 나쁜놈, 이상한놈' '밀정' 등을 만든 김지운 감독의 신작으로 제76회 칸 국제영화제 공식 비경쟁 부문에 초청되며 일찌감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김지운 감독은 "개인적을 60~70년대 한국 지식인, 예술가, 영화감독의 룩을 굉장히 좋아한다. 트렌치코트에 뿔테 안경을 쓰고, 담배를 물고 고뇌하는 모습이 굉장히 예술가스러운 느낌이 든다. '거미집' 속 '김감독'을 통해 그런 예술가의 초상을 그려내고 싶었다"고 말했다.
김 감독은 팬데믹 시절을 언급하며 "영화를 재정립하고 재정의하는 기간"이라고 말했다. 그는 "영화란 무엇이고 내게 어떤 의미인지 되물어 보고 정립하는 기회가 되었다. 어떻게 하면 한국영화의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까 고민하는 시간이었고 '거미집'을 통해 그런 질문을 보여줄 수 있을 거로생각했다"고 설명했다.
또 "1970년대도 어떻게 보면 침체기였는데 그 시절 감독님들은 지금보다 열악한 시절을 어떻게 돌파하고 꿈과 비전을 잃지 않으며 한국 영화계 르네상스를 오게 했을까 그런 점들을 고민하고 끌어오려고 했다"고 거들었다.
김 감독은 극 중 극을 녹여내며 만족스러운 결과물을 끌어냈음을 드러냈다. 그는 "이 영화가 잘 된다면 극 중 등장하는 '거미집'을 장편영화로 만들어도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덧붙였다.
기필코 걸작을 만들고 싶은 '거미집'의 감독 '김열' 역을 맡은 송강호는 회의와 자학, 열정과 재능, 현실의 악조건 사이에서 복잡하게 뒤엉키는 감정들을 실감 나게 그린다. 송강호는 "바꾸고 싶었던 결말이 상당히 도발적이고, 도전적인 장면이었다. 사실 김 감독의 욕망 때문에 다 모이게 되고, 거기서 좌충우돌을 겪고, 수많은 과정을 거치면서 결말을 완성하는데 영화에서 나오는 배우들도 얽히고설킨 욕망의 카르텔 속에서 허우적대는 사람들의 지독한 우화 같은 영화가 아닐지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영화 속 영화를 바라보는 관점도, 마지막 표정도 정답이 없는 거다. 보는 사람에 따라서 결말에 흡족한 표정처럼 보일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저도 볼 때마다 느낌이 다른 것 같다"고 전했다.
송강호는 걸작을 만들고 싶은 영화감독 '김열' 역, 임수정은 베테랑 배우 '이민자' 역, 오정세는 바람둥이 톱스타 '강호세' 역, 전여빈은 제작사 신성필림의 후계자 '신미도' 역, 정수정은 떠오르는 스타 '한유림' 역을 소화해 냈다.
영화 속 정수정, 오정세, 임수정은 1970년대 배우 역할을 맡아 시대를 반영한 연기를 선보인다. 후시녹음이 가미된 장면 등이 현대극과는 색다른 재미를 준다.
정수정은 "감독님의 시범에 감을 얻었다. 당시의 클립 영상도 찾아보면서 레퍼런스로 삼았다. 처음에는 낯설기도 했는데 현장에서 연기할 때 모두가 그렇게 연기하니까 자연스럽게 되는 거다. 특히 그 의상, 헤어 메이크업을 해야만 그 말투가 나오더라"라고 밝혔다.
이어 오정세는 "참고 자료를 통해 고민했는데 요즘 저희가 쓰지 않는 말들이 많았다. 신기한 부분이 많았지만, 그 시대의 억양과 단어를 가져오려고 노력했고, 그런 걸 보다 보니까 처음에는 70년대 연기가 과장된 연기로만 느껴졌다. 근데 표현만 과장됐지, 진심이 있더라"라고 말했다.
임수정은 "그 시대 영화를 보고, 리허설하면서 톤을 찾아갔었다. 어느 정도 몸에 그 시대의 연기 톤이 익숙해질 때쯤 몇몇 신에서는 누가 뭐라 할 것 없이 더 표현할 수 있었다. 연기를 주고받으면서 그 신이 고조되는 장면을 촬영하면서 저희도 신나고, 희열을 느꼈던 기억이 난다. 무엇보다 저도 '이민자' 역을 연기하면서 배우로서 처음으로 그 시대의 연기 톤으로 배우 역할을 할 수 있었다는 점도 감사하다는 생각이 든다. 또 흑백 영화 안에 제가 담기는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것도 운이 좋다는 생각을 했다"고 전했다.
'오여사' 역의 박정수는 "제가 70년대를 가장 잘 알지만, 그때는 영화를 안 해서 영화에 대한 건 잘 모른다. 드라마만 하다가 그만뒀다. 그럼에도 그 시절을 반영한 부분을 떠올려 본다면 검열의 부분이다. 드라마도 안기부에서 나와서 검열했었다"며 극 중 시대를 반영한 부분을 언급했다.
'미도' 역의 전여빈은 "스태프 역할로 연기할 기회였다. 관객 중 한 명으로서 현장을 누볐던 기억이 난다"고 회상했다. 그는 신미도 역할에 대해 "'거미집'이라는 영화에 촉매제가 되는 인물이다. 김 감독의 열정을 이어받아 더 업될 수 있는 에너지를 주려고 했다"고 말했다.
김 감독은 "(배우들이) 스스로 혹독하게 연기했다. 배우들이 너무 알아서 잘해주셔서 제가 다른 영화 구경하듯이 영화를 찍었던 것 같다"고 칭찬했다.
마지막으로 김지운 감독은 "영화 속 김 감독이 처한 상황을 인생으로 확장한다면 끊임없는 모순, 불합리한 세계에서 수많은 난관과 역경에 부딪히는 어떻게 돌파하는지, 또 어떻게 꿈을 실현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라며 '중꺾마'(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을 언급했다.
또 "또 앙상블 코미디가 어떤 재미를 가졌는지 '거미집'을 통해 보여주고 싶었다"며 배우들의 호흡으로 이뤄지는 코미디 호흡을 담아내려고 했음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송강호는 "영화적인 문법을 떠나서 '거미집'이 가지고 있는 영화적인 멋과 묘미가 새롭게 다가올 수 있는 영화다. 한국 영화 입장에서는 반가운 영화가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해외 관객을 홀린 '거미집'은 한국 관객의 마음도 사로잡을 수 있을까? 추석 극장가에 출격하는 '거미집'에 영화 팬들은 물론 업계의 관심도 쏠린다. 27일 개봉.
영화 '거미집'은 1970년대, 다 찍은 영화의 결말만 바꾸면 걸작이 될 거라 믿는 '김열' 감독(송강호 분)이 바뀐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배우와 제작자 등 미치기 일보 직전의 현장에서 촬영을 밀어붙이는 이야기를 담아낸 작품이다.
영화 '조용한 가족' '반칙왕' '장화, 홍련' '달콤한 인생' '좋은놈, 나쁜놈, 이상한놈' '밀정' 등을 만든 김지운 감독의 신작으로 제76회 칸 국제영화제 공식 비경쟁 부문에 초청되며 일찌감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김지운 감독은 "개인적을 60~70년대 한국 지식인, 예술가, 영화감독의 룩을 굉장히 좋아한다. 트렌치코트에 뿔테 안경을 쓰고, 담배를 물고 고뇌하는 모습이 굉장히 예술가스러운 느낌이 든다. '거미집' 속 '김감독'을 통해 그런 예술가의 초상을 그려내고 싶었다"고 말했다.
또 "1970년대도 어떻게 보면 침체기였는데 그 시절 감독님들은 지금보다 열악한 시절을 어떻게 돌파하고 꿈과 비전을 잃지 않으며 한국 영화계 르네상스를 오게 했을까 그런 점들을 고민하고 끌어오려고 했다"고 거들었다.
김 감독은 극 중 극을 녹여내며 만족스러운 결과물을 끌어냈음을 드러냈다. 그는 "이 영화가 잘 된다면 극 중 등장하는 '거미집'을 장편영화로 만들어도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덧붙였다.
기필코 걸작을 만들고 싶은 '거미집'의 감독 '김열' 역을 맡은 송강호는 회의와 자학, 열정과 재능, 현실의 악조건 사이에서 복잡하게 뒤엉키는 감정들을 실감 나게 그린다. 송강호는 "바꾸고 싶었던 결말이 상당히 도발적이고, 도전적인 장면이었다. 사실 김 감독의 욕망 때문에 다 모이게 되고, 거기서 좌충우돌을 겪고, 수많은 과정을 거치면서 결말을 완성하는데 영화에서 나오는 배우들도 얽히고설킨 욕망의 카르텔 속에서 허우적대는 사람들의 지독한 우화 같은 영화가 아닐지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영화 속 영화를 바라보는 관점도, 마지막 표정도 정답이 없는 거다. 보는 사람에 따라서 결말에 흡족한 표정처럼 보일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저도 볼 때마다 느낌이 다른 것 같다"고 전했다.
송강호는 걸작을 만들고 싶은 영화감독 '김열' 역, 임수정은 베테랑 배우 '이민자' 역, 오정세는 바람둥이 톱스타 '강호세' 역, 전여빈은 제작사 신성필림의 후계자 '신미도' 역, 정수정은 떠오르는 스타 '한유림' 역을 소화해 냈다.
영화 속 정수정, 오정세, 임수정은 1970년대 배우 역할을 맡아 시대를 반영한 연기를 선보인다. 후시녹음이 가미된 장면 등이 현대극과는 색다른 재미를 준다.
정수정은 "감독님의 시범에 감을 얻었다. 당시의 클립 영상도 찾아보면서 레퍼런스로 삼았다. 처음에는 낯설기도 했는데 현장에서 연기할 때 모두가 그렇게 연기하니까 자연스럽게 되는 거다. 특히 그 의상, 헤어 메이크업을 해야만 그 말투가 나오더라"라고 밝혔다.
이어 오정세는 "참고 자료를 통해 고민했는데 요즘 저희가 쓰지 않는 말들이 많았다. 신기한 부분이 많았지만, 그 시대의 억양과 단어를 가져오려고 노력했고, 그런 걸 보다 보니까 처음에는 70년대 연기가 과장된 연기로만 느껴졌다. 근데 표현만 과장됐지, 진심이 있더라"라고 말했다.
임수정은 "그 시대 영화를 보고, 리허설하면서 톤을 찾아갔었다. 어느 정도 몸에 그 시대의 연기 톤이 익숙해질 때쯤 몇몇 신에서는 누가 뭐라 할 것 없이 더 표현할 수 있었다. 연기를 주고받으면서 그 신이 고조되는 장면을 촬영하면서 저희도 신나고, 희열을 느꼈던 기억이 난다. 무엇보다 저도 '이민자' 역을 연기하면서 배우로서 처음으로 그 시대의 연기 톤으로 배우 역할을 할 수 있었다는 점도 감사하다는 생각이 든다. 또 흑백 영화 안에 제가 담기는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것도 운이 좋다는 생각을 했다"고 전했다.
'오여사' 역의 박정수는 "제가 70년대를 가장 잘 알지만, 그때는 영화를 안 해서 영화에 대한 건 잘 모른다. 드라마만 하다가 그만뒀다. 그럼에도 그 시절을 반영한 부분을 떠올려 본다면 검열의 부분이다. 드라마도 안기부에서 나와서 검열했었다"며 극 중 시대를 반영한 부분을 언급했다.
'미도' 역의 전여빈은 "스태프 역할로 연기할 기회였다. 관객 중 한 명으로서 현장을 누볐던 기억이 난다"고 회상했다. 그는 신미도 역할에 대해 "'거미집'이라는 영화에 촉매제가 되는 인물이다. 김 감독의 열정을 이어받아 더 업될 수 있는 에너지를 주려고 했다"고 말했다.
김 감독은 "(배우들이) 스스로 혹독하게 연기했다. 배우들이 너무 알아서 잘해주셔서 제가 다른 영화 구경하듯이 영화를 찍었던 것 같다"고 칭찬했다.
마지막으로 김지운 감독은 "영화 속 김 감독이 처한 상황을 인생으로 확장한다면 끊임없는 모순, 불합리한 세계에서 수많은 난관과 역경에 부딪히는 어떻게 돌파하는지, 또 어떻게 꿈을 실현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라며 '중꺾마'(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을 언급했다.
또 "또 앙상블 코미디가 어떤 재미를 가졌는지 '거미집'을 통해 보여주고 싶었다"며 배우들의 호흡으로 이뤄지는 코미디 호흡을 담아내려고 했음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송강호는 "영화적인 문법을 떠나서 '거미집'이 가지고 있는 영화적인 멋과 묘미가 새롭게 다가올 수 있는 영화다. 한국 영화 입장에서는 반가운 영화가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해외 관객을 홀린 '거미집'은 한국 관객의 마음도 사로잡을 수 있을까? 추석 극장가에 출격하는 '거미집'에 영화 팬들은 물론 업계의 관심도 쏠린다. 27일 개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