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2027년까지 원전 설비 수출기업 100개사 육성..유망기업당 5년간 20억원 지원

2023-09-11 11:11
  • 글자크기 설정

수출 전략 수립부터 계약체결, 납품까지 '밀착 지원'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공기업 수주에 의존하지 않는 원전 설비 수출기업 100개사를 육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11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원전 중소·중견기업의 첫 번째 수출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원전 중소·중견기업 수출 첫걸음 프로그램'을 새롭게 가동한다고 밝혔다. 이는 수출 경험은 없지만 잠재력을 갖춘 유망 기업을 선정해 수출 전 단계를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정부는 유망한 원전 중소·중견기업을 선정해 기업당 연간 최대 4억원을 5년간 20억원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2027년까지 원전 설비 수출기업 100개사를 육성하는 게 목표다. 지난해 기준 독자 수출 경험을 보유한 원전 설비 수출기업 40개사에 더해 2027년까지 이런 기업 60개사를 새롭게 길러낼 계획이다.

원전수출산업협회, 한국수력원자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원자력협력재단, 무역보험공사 등 5개 기관이 시장조사와 수출 전략 수립, 품질인증 획득, 마케팅, 계약체결, 납품까지 밀착 지원한다. 정부는 앞으로 참여 지원 기관을 확대하고 지원 범위도 넓혀갈 방침이다.

최근 신규원전 건설과 계속 운전 확대로 전 세계적인 원전 설비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주요국들은 과거 원전건설 중단 등의 영향으로 설비 제조 능력이 약화돼 우리 기업의 글로벌 공급망 진입기회가 열리고 있다는 게 산업부 설명이다.

지난 5년간 원전수출 계약은 143건(5억3000만 달러) 수준에 불과하다. 수출 방식도 공기업이 수주한 프로젝트의 하도급 계약이 대부분으로 중소기업 단독 수출은 전체의 9%(건수 기준)다.

이에 정부는 지난 3월 '원전 설비 수출 활성화 방안'을 수립해 원전 공기업과 협력업체 간 동반진출을 확대하기로 했다. 또한 공기업 수주에 의존하지 않는 원전 설비 수출기업을 육성하는 투-트랙 전략(동반진출·독자수출)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이번에 새로 가동하는 프로그램은 원전 설비 수출 활성화 방안 후속 조치 중 하나다. 

이승렬 산업부 원전산업정책국장은 "그간 여러 기관이 다양한 지원제도를 개별적으로 운영해 원전 설비 수출성과로 이어지는 데 다소 한계가 있었다"며 "이번 지원 프로그램 신설을 계기로 정부와 유관기관들이 힘을 모아 오는 2027년 원전 설비 수출기업 100개사 달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자"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