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범도 흉상 이전' 육사 결정에…카자흐 고려인들 "이전 계획 철회하라"

2023-09-02 08:19
  • 글자크기 설정
 2018년 6월 신흥무관학교 설립 107주년 기념식에 참석한 신흥무관학교기념사업회 및 육군사관학교 관계자들이 독립전쟁 영웅 5인의 흉상 뒤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018년 6월 신흥무관학교 설립 107주년 기념식에 참석한 신흥무관학교기념사업회 및 육군사관학교 관계자들이 독립전쟁 영웅 5인의 흉상 뒤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육군사관학교가 홍범도 장군 흉상을 교내에서 외부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는 소식이 알려진 가운데, 카자흐스탄의 고려인 동포들이 이전 계획 철회를 촉구했다.

리 류보피 카자흐스탄 국립아카데미 고려극장 예술감독과 박 드미트리 홍범도 장군 기념사업회 카자흐스탄 지회장 등 고려인 동포들은 1일(현지시간) 알마티 고려극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흉상 이전 계획에 항의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날 알마티 고려극장에  '항일독립전쟁 영웅 홍범도 장군, 모셔갔으면 제대로 모셔라', '홍범도 장군 공산당 이력이 문제면 내 가족과 고려인 동포 50만명도 모국의 적인가' 등이 쓰인 플래카드를 들고 나왔다.

박 지회장은 "2021년 홍범도 장군 유해봉환 당시 홍범도 장군이 아름다운 해방된 조국의 품에 안겨 영면하시겠다고 생각하면서 마음 뿌듯해했고 한국이라는 나라를 자랑스럽게 느꼈다"며 "다섯 분의 독립전쟁 영웅 중에서 홍범도 장군의 흉상만 철거한다는 소식에 더 큰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리 예술감독은 "체제와 정권이 바뀔지라도 홍범도 장군은 우리 민족의 독립전쟁 영웅"이라며 "그가 8000만 겨레의 기억 속에서 영원히 사라지지 않도록 고려극장은 있는 힘을 다하여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독립군 지도자 홍범도 장군은 스탈린 정권의 한인 강제이주 정책으로 연해주에서 카자흐스탄 크즐오르다로 이주해 말년을 카자흐스탄에서 보냈다. 1943년 75세 나이로 별세할 때까지 그는 카자흐스탄에 거주하는 고려인들의 정신적 지주로 꼽혔다. 홍범도 장군의 유해는 2021년 8월 한국에 봉환돼 대전 현충원에 안장됐다.

앞서 지난 31일 육사는 "홍범도 장군 흉상은 육사의 정체성과 독립투사로서의 예우를 동시에 고려해 육사 외 독립운동 업적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적절한 장소로 이전한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개의 댓글
0 / 300
  • 중국도 베트남도 라오스도 공산국가지만 다 가보았다.
    북한만 못 가보는 이유는?
    이제는 이념논리는 그만두고 왔다 갔다 할 수 있는 정치를 하자. 적이면 형이나 아버지에게도 방아쇠를 당기겠니?

    공감/비공감
    공감:1
    비공감:0
  • 이념 이념 하는 넘들이 이놈으 세상만들어 가뜩이나 힘들어 죽겠는데 지랄이야 지랄.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1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