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 끝난 지 한참인데…월 1300만원 받아간 조합장·직원

2023-09-01 08:36
  • 글자크기 설정

서울 미청산 재개발·재건축 85개 조합 조사 결과

조합장·직원 월급으로 평균 441만원 지출

청산인 고의로 정산절차 지연…유보금 횡령

사진연합뉴스
서울의 한 재건축 단지에서 작동 중인 크레인 모습. [사진=연합뉴스]
아파트 입주가 끝난 이후에 청산하지 않고 운영되는 정비조합에서 조합장(청산인)과 직원이 최대 1300만원의 월급을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일 더불어민주당 김영호 의원이 서울시에서 제출받은 '조합 해산 및 청산 현황'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서울 25개 구의 정비사업 조합은 총 250개다. 이 중 청산이 완료된 조합은 55개(22%), 청산되지 않은 조합은 85개(34%)다.

나머지 110개는 미해산, 연락 두절, 자료 미제출 등으로 청산 여부를 제대로 확인할 수 없는 조합이다.

현행법상 정비사업 조합은 정비사업이 완료돼 입주가 끝나면 1년 이내 조합장이 조합 해산을 위한 총회를 소집하고, 총회에서 청산인을 선임해 조합 사무를 종결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청산인은 해산한 조합의 조합장이 그대로 승계한다.

조합은 청산 작업을 통해 그동안 비용을 결산한 뒤 추가 이익을 조합원들과 나눈다. 미청산 조합은 청산인을 선임해 놓고도 청산을 끝내지 못하고 조합 사무실과 임원을 그대로 유지하는 곳들이다.


법적 분쟁 등이 이어져 청산이 불가능한 조합도 있지만 일부 조합에서는 청산인이 고의로 청산 절차를 지연해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금, 채권 추심, 변제 등을 위해 남겨둔 유보금을 횡령한 사례도 확인됐다.

조합이 해산되고 청산법인으로 넘어가면 국토교통부나 지방자치단체의 관리·감독 권한이 사라지고, 법원이 청산 절차를 감독하게 된다. 조합원들은 소송이 아니면 청산 절차에 관여할 수 없어 장기간 청산을 하지 않고 월급을 받는 조합장이 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영등포의 A재개발조합은 2020년 10월 입주를 마친 뒤 2021년 4월 해산하고도, 2년 넘게 청산을 마무리하지 않았다. 조합장과 직원 1명에게 매월 1300만원을 급여로 주고 있는 상황이다.

성북구 B재개발조합은 조합장 월급이 586만원이고, 바로 옆 C재개발조합장은 517만원을 받고 있다. 이들은 경리 직원도 따로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2월 해산한 마포구 D재개발조합도 조합장·직원 월급으로 매달 800만원을, E재개발조합은 813만원을 지출하고 있다.

조합장·직원 급여가 100만원대인 미청산 조합은 3곳, 200만원대인 곳은 12곳이었다. 300만원대가 24곳으로 가장 많았고, 400만원대 12곳, 500만원대 11곳, 600만원대 3곳, 700만원대 6곳, 800만원 이상 4곳이었다.

김영호 의원은 "고의로 청산을 지연하며 조합원들과 입주자들의 권리를 침해하는 일부 부도덕한 청산 조합에 대해서는 수사기관 고발 등 조치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국회에 발의된 '청산연금 방지법'을 조속히 통과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