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세대 눈높이 맞춘 중기부, 청년정책 선두 중앙부처 우뚝

2023-07-03 15:11
  • 글자크기 설정

청년정책 종합평가서 'S등급' 13개로 최다 획득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가 명실상부 청년정책 선두 중앙부처로 거듭났다. 미래 세대인 청년들과 소통하고 협업하고자 내놓은 25개 과제 중 과반수인 13개가 청년정책조정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가 실시한 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인 S등급을 받았기 때문이다.
 
3일 중기부에 따르면 지난달 26일부터 28일까지 청년정책조정위원회에서 32개 중앙부처와 17개 시·도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2022년도 실적) 청년정책 종합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인 S등급을 전 부처에서 가장 많이 받았다. S등급을 받은 비율도 중앙부처 평균 22%보다 월등히 높은 52%로 나타났다.
 
청년정책조정위원회에서 실시하는 '2023년 청년정책 종합평가'는 범부처 청년정책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중앙부처가 수립한 5대 분야(일자리, 주거, 교육, 복지·문화, 참여·권리) 376개 과제의 2022년 추진실적을 점검하고 평가한다.
 
개별 과제 중에서는 우수 청년창업자를 발굴해 창업계획 수립부터 사업화까지 창업 전체 과정을 지원하는 ‘청년창업사관학교’가 일자리 분야 과제 중 대표 우수과제로 선정됐다.
 
청년 창업사업화를 위해 최대 1억원을 연 2% 금리로 융자해주고 교육까지 지원해주는 ‘청년전용창업자금’과 지역 청년대상 전문가 멘토링과 창업상담을 지원해주는 ‘창조경제혁신센터’ 등도 우수과제로 선정됐다.
 
중기부는 정책 전반에 청년세대 인식을 반영하고자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 중앙부처 중 가장 먼저 채용한 ‘청년보좌역’이 대표적이다. 청년보좌역 제도는 정부 국정 전반에 청년 세대의 인식을 반영하는 통로를 마련하고 청년이 직접 정책 과정에 참여할 수 있게 하려는 새 정부 국정과제다. 
 
이와 함께 청년 친화 정책 위해 2030 세대와 머리를 맞대는 것도 마다하지 않고 있다. 중기부는 지난해 11월부터 ‘2030자문단’을 결성해 운영 중이다. 지난 5월에는 중기부 20~30대 직원 20명으로 구성된 ‘2030 중기단’을 꾸리고 2030자문단이 선정한 창업벤처기술 4개, 디지털 2개, 중소기업 정책 2개, 소상공인 2개 총 10개 과제를 청년 시각에서 검토하고 정책에 반영하기로 했다.
 
이영 중기부 장관은 “중기부가 실시한 청년정책 종합평가는 중기부와 미래 세대인 청년들이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협업한 결과라고 생각한다”며 “청년들이 바라는 의견이 청년정책에 반영되고 제대로 이행될 수 있도록 청년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