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네이버]](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3/06/30/20230630145928906095.jpg)
네이버가 개선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7대 전략을 담은 2022년 통합보고서를 발간했다. 재생에너지 도입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 감축과 988억원 상당의 사회적 가치 창출 등 ESG 경영 실천 성과를 강조하며 ESG 선도 기업을 표방했다.
네이버는 2022년 ESG 경영 통합보고서에 국제기구(GRI, SASB 등)가 제시하는 기준에 따라 비재무적 활동 성과를 작성하고 7대 ESG 전략을 처음으로 소개했다고 30일 밝혔다. 네이버의 7대 ESG 전략은 △ESG 가치창출 플랫폼 구축 △구성원 성장 및 만족 △파트너 성장 지원 및 지역사회 상생 △지배구조 투명성 유지 및 선진화 △2040 Carbon Negative 달성 △정보보호·사이버 보안 리스크 최소화 △책임있는 비즈니스 운영이다.
ESG 경영 실천 일환으로 지난해 이용자에게 프라이버시 개선 의견을 받아 서비스에 반영하고 보상을 제공하하는 프라이버시 개선 보상제(PER) 제도를 도입했다. 서울대 인공지능 정책 이니셔티브(SAPI)와 두 번째 보고서인 ‘네이버-SAPI 인공지능 리포트’를 발간했다. 6년 연속 동반성장지수평가 ‘최우수’ 등급을 획득했다. 구성원이 자율적으로 근무 형태를 정하는 ‘커넥티드 워크’를 도입했다.
중소상공인(SME)과 창작자를 지원하는 상생 캠페인 ‘프로젝트 꽃’으로 교육 지원, 스타트 제로 수수료, 성장 포인트, 빠른 정산 등으로 이뤄진 제도·재무적 지원 규모가 399억원 상당이다. 네이버는 여기에 △커넥트 재단을 통한 디지털 소외계층 교육 지원 △해피빈을 통한 재난재해 기부와 모금 △네이버 문화재단을 통한 문화예술 창작자 지원 활동 등을 함께 고려하면 지난해 988억원 규모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한 셈이라고 밝혔다.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인 TCFD의 권고안에 따라 네이버는 2040년도 탄소중립 이행 계획과 전략을 보완한 보고서를 함께 공개했다. ESG 경영 방침을 실제 서비스까지 연계한 사례와 성과를 담은 그린 커머스 보고서를 통해 친환경 소비자(그린슈머) 426만명이 네이버 플랫폼과 프로모션 지원을 통해 SME와 접점을 형성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2021년과 2022년 연속으로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글로벌 ESG 평가로 최고 등급인 ‘AAA’를 획득했다. 한국ESG기준원 ESG 평가로 A 등급을 받고 ESG 평가기관인 서스틴베스트가 전년 대비 한 단계 오른 ‘AA’ 등급을 부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