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근원물가 상승률이 예상보다 경직적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우려했다. 향후 물가 경로나 기준금리 향방에 대해서도 고려할 변수가 많고 불확실성이 크다는 이유로 명확한 판단을 유보했다.
한은은 19일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물가 안정 목표 운영 상황 점검 설명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이창용 한은 총재는 “근원물가 상승률이 앞으로 2~3개월 경직적인 모습을 보이다가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이후 반등 여부는 경기를 비롯한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국내 근원물가 상승률 반등을 가정한 기준금리 향방에 관한 질문에도 그는 “그 시점에서 근원물가 상승률 반등 폭이나 여러 지표를 보고 결정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처럼 한은이 향후 물가 경로와 관련해 명확한 전망을 제시하지 못하는 것은 기저효과 등으로 인한 근원물가 상승률 둔화 움직임 속에서도 상방 압력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최창호 한은 조사국장은 “과거 데이터를 이용해 추정한 결과 비용 인상 압력이 근원물가 상승률에 8분기 정도 유의미한 영향을 줬고 4분기 정도 뒤에 최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결국 근원물가 상승률에 대한 비용 인상 압력 영향력이 상당히 지속적이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국내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기조물가(일시적 요인의 영향을 제거한 물가) 상승률 간 차이를 뜻하는 ‘헤드라인 충격’이 비용 인상 압력으로 작용해 근원물가 상승률에 여전히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이다. 최 국장은 “헤드라인 충격이 지난해 중순께 최정점을 찍은 뒤 1년 정도 지났기 때문에 여전히 근원물가 상승률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짐작할 수 있고 앞으로 그 영향은 점차 줄어들 것”이라면서도 “국제 유가나 전기·도시가스 요금 등 국내외 비용 인상 압력이 추가로 커지면 이차 파급 영향이 예상보다 오래 지속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 고용 측면에서도 과거 물가 둔화기였던 1998년이나 2008년과 다른 흐름을 보이고 있어 근원물가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물가 둔화기에는 취업자 수가 함께 감소했지만 최근에는 오히려 증가하면서 근원물가 상승률 경직성에 기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김웅 한은 부총재보는 “대면 서비스를 중심으로 고용 수요가 확대되고 여성층·고령층이 노동 공급을 늘리고 있다”며 “그렇다 보니 고용 상황이 예상보다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어 소득과 소비가 늘면서 근원물가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 총재는 최근 늘고 있는 가계대출과 관련해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여러 지원책에 의한 단기적 현상인지 추세적으로 자리 잡을지 보고 있다”며 “추세가 바뀔 위험이 있다면 한은뿐만 아니라 정부도 가계부채를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는 데 공감대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은행권을 중심으로 주택담보대출이 늘고 있지만 가계부채가 빠르게 증가하는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부연했다.
한은은 19일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물가 안정 목표 운영 상황 점검 설명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이창용 한은 총재는 “근원물가 상승률이 앞으로 2~3개월 경직적인 모습을 보이다가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이후 반등 여부는 경기를 비롯한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국내 근원물가 상승률 반등을 가정한 기준금리 향방에 관한 질문에도 그는 “그 시점에서 근원물가 상승률 반등 폭이나 여러 지표를 보고 결정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처럼 한은이 향후 물가 경로와 관련해 명확한 전망을 제시하지 못하는 것은 기저효과 등으로 인한 근원물가 상승률 둔화 움직임 속에서도 상방 압력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최창호 한은 조사국장은 “과거 데이터를 이용해 추정한 결과 비용 인상 압력이 근원물가 상승률에 8분기 정도 유의미한 영향을 줬고 4분기 정도 뒤에 최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결국 근원물가 상승률에 대한 비용 인상 압력 영향력이 상당히 지속적이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국내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기조물가(일시적 요인의 영향을 제거한 물가) 상승률 간 차이를 뜻하는 ‘헤드라인 충격’이 비용 인상 압력으로 작용해 근원물가 상승률에 여전히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이다. 최 국장은 “헤드라인 충격이 지난해 중순께 최정점을 찍은 뒤 1년 정도 지났기 때문에 여전히 근원물가 상승률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짐작할 수 있고 앞으로 그 영향은 점차 줄어들 것”이라면서도 “국제 유가나 전기·도시가스 요금 등 국내외 비용 인상 압력이 추가로 커지면 이차 파급 영향이 예상보다 오래 지속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이 총재는 최근 늘고 있는 가계대출과 관련해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여러 지원책에 의한 단기적 현상인지 추세적으로 자리 잡을지 보고 있다”며 “추세가 바뀔 위험이 있다면 한은뿐만 아니라 정부도 가계부채를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는 데 공감대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은행권을 중심으로 주택담보대출이 늘고 있지만 가계부채가 빠르게 증가하는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