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8일 국회 당 사무실에서 열린 '민주당-양대노총 청년정책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인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8일 윤석열 정부의 3대 개혁 중 하나인 '노동개혁'을 겨냥해 "노동탄압"이라고 직격했다. 전날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불참을 선언한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을 포함한 노동자와 만나면서, 이 대표가 산적한 당 내 문제 해결을 위해 '외부 전선 구축' 전략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대표는 이날 한국노총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청년노동자와 타운홀미팅 노동정책 간담회를 갖고 "노동존중을 넘어서서 노동탄압이라는 게 눈앞의 현실로 펼쳐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포스코 하청노동자 연대 '망루 농성' 과정에서 빚어진 경찰의 강경 진압을 두고 이 대표는 "진압 자체를 위한 건지 누군가에게 보여주기 위한 건지 의문스럽게 한다"고 꼬집었다.
이 대표는 윤석열 정부의 노동개혁에 대해 "현 정부, 현 집권 세력의 노동자에 대한 인식을 다시 한번 되돌아봐야 할 상황으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이래경 다른백년 명예이사장. [사진=연합뉴스]
이 대표의 이 같은 행보는 이래경 혁신위원장의 초고속 사임으로 촉발된 당 내홍을 수습하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 이 대표는 그간 자신의 사법리스크를 비롯해 당 내 문제가 생길 때마다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을 겨냥한 발언을 쏟아냈다. 당 외부에 전선을 구축해 갈등을 잠재워보려는 '수 싸움'인 셈이다.
이 대표는 이날 간담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이 위원장 낙마 사태와 관련해 "더 나은 혁신을 해나가는 게 문제 해결의 방법"이라면서도 '인선 논란에 대해 책임지고 유감을 표명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는 질문에는 대답하지 않았다.
이 대표가 인선 논란에 대한 유감 표명을 하지 않으면서 당 내에서는 '이재명 책임론'이 강하게 분출됐다. 이상민 의원은 이날 오전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무한책임을 질 방도는 대표직 사퇴뿐"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 대표가 물러나는 게 혁신의 첫걸음"이라며 "지금의 분란 또 당의 부조리 또 여러 가지 문제를 응축하고 있는 부분이 이 대표가 이 상황에서 뒤로 물러서는, 퇴진하는 것만이 당의 부조리를 제거할 수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