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을 비롯해 미국, 중국 등 세계 주요국들은 AI 도입에 따른 부작용을 막기 위한 규제 논의가 더욱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유럽의회 상임위원회는 지난 11일 AI 프로그램을 4등급으로 평가·분류한 '인공지능법(AI Act)' 초안을 통과시켰다. 유럽의 인공지능법은 세계에서도 가장 빠른 AI 관련 규제 법안이다.
미국에서도 이달 처음으로 의회에서 AI 청문회를 개최했으며, 중국에서도 경쟁국이 AI를 악용할 것에 대비해 규제 기구를 설립하는 데 집중하기로 했다. 규제 움직임 확대는 AI에 따른 불확실성에 대한 두려움도 있지만, 시장의 성장 속도가 가파르기 때문이란 이유도 크다.
이렇듯 AI가 잠재적인 위험 요소로 더욱 부각되고 있지만, 금융시장에서는 생성형AI 등장과 함께 AI 활성화를 위한 도전이 계속되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IB)인 JP모건은 지난 2017년 법률 문서를 단 몇 초 만에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된 AI 기반 계약 분석 도구인 'COiN' 챗봇을 도입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지난 2018년 업계 최초로 대화형 금융거래 애플리케이션 에리카와 기업공개(IPO)의 적정 가치를 식별하는 거래 예측시스템 'PRIAM'을 출시했다. 도이치방크는 지난해 '엔비디아 옴니버스(NVIDIA Omniverse)'를 이용해 직원들이 내부 시스템을 탐색하고 HR 관련 질문에 응답하는 데 도움이 되는 3D 가상 아바타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총비용을 최대 80%까지 절감한다는 계획이다.
이렇듯 AI의 도입은 업무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높이고, 고객 서비스 수준을 확대해 금융산업 디지털 역량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옥일진 우리은행 디지털전략그룹 부행장은 "이젠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로보어드바이저가 붙어 최적의 포트폴리오를 추천해주고, 아쉬웠던 고객 응대에서도 챗봇을 통해 초개인화된 자산관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궁극적으로는 균형 잡힌 시각으로 올바른 데이터 생태계를 꾸리는 게 가장 중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정호 한국금융연구원 부원장은 "미국, 중국, 인도 등이 AI 분야 국제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경주하고 있다"면서 "특히 금융에선 AI 활용은 여전히 걸음마 단계다. 법적 리스크를 줄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국제적인 규제 정합성을 유지하면서 양질의 데이터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정책당국의 핵심 과제"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