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화로 생산가능 인구가 줄고 부양해야 할 인구가 늘면 국내총생산(GDP)이 감소해 경제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제기됐다. 인구구조 변화로 2050년 국내총생산(GDP)은 2022년 대비 28.4%, 매년 1.2%씩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18일 '인구구조 변화가 GDP에 미치는 영향 추정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유엔 인구자료에 따르면 2050년 한국 총 인구는 4577만1000여 명으로 지난해 5181만6000여명) 대비 11.67%가량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이 중 2050년 생산가능 인구는 2398만4000여 명으로 지난해 3675만7000여 명보다 34.75% 줄어들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피부양 인구는 지난해 1505만9000여 명에서 2050년 2178만7000여 명으로 44.67% 증가가 예상됐다.
우리나라 인구피라미드 형태는 인구 변화에 따라 모양이 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과거 삼각형 구조에서 2022년에는 40~60세가 두터워지는 항아리형으로 변화했다. 2050년에는 저출산·고령화의 심화로 항아리형에서 고령층의 인구수가 더 많은 역피라미드형으로 변화가 예상된다. 2100년에는 인구가 더 줄어 전 연령의 인구 면적이 가늘어지는 방망이 형태가 된다.
한경연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패널자료를 사용해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 생산가능인구가 1% 감소하면 GDP는 약 0.59% 줄고, 피부양인구가 1% 증가하면 GDP가 약 0.17% 감소한다고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다른 요인이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한국의 인구구조 변화로 2050년 GDP는 2022년 대비 28.38%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2022~2050년 연평균으로 전환하면 GDP는 약 1.18%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유진성 한경연 선임연구위원은 "경제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생산가능인구는 줄고 부양해야 할 인구는 늘어남에 따라 재정부담의 증가, 미래투자 감소 등 경제활력이 저하되면서 GDP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경제적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고용률 제고 및 규제 완화, 외국인 근로자 활용, 노동생산성 향상 등 정책 모색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고용률 상승이 GDP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만큼 노동경직성 완화 등 노동규제를 완화해 고용기회를 확대하고, 근로시간 유연화 정책도 확대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취지다.
한경연 관계자는 "임금피크제와 임금체계 개편 등을 함께 추진해 고령층의 고용 효율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기업들의 고용 여력을 증대시키고 청년들의 취업 기회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18일 '인구구조 변화가 GDP에 미치는 영향 추정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유엔 인구자료에 따르면 2050년 한국 총 인구는 4577만1000여 명으로 지난해 5181만6000여명) 대비 11.67%가량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이 중 2050년 생산가능 인구는 2398만4000여 명으로 지난해 3675만7000여 명보다 34.75% 줄어들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피부양 인구는 지난해 1505만9000여 명에서 2050년 2178만7000여 명으로 44.67% 증가가 예상됐다.
우리나라 인구피라미드 형태는 인구 변화에 따라 모양이 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과거 삼각형 구조에서 2022년에는 40~60세가 두터워지는 항아리형으로 변화했다. 2050년에는 저출산·고령화의 심화로 항아리형에서 고령층의 인구수가 더 많은 역피라미드형으로 변화가 예상된다. 2100년에는 인구가 더 줄어 전 연령의 인구 면적이 가늘어지는 방망이 형태가 된다.
한경연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패널자료를 사용해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 생산가능인구가 1% 감소하면 GDP는 약 0.59% 줄고, 피부양인구가 1% 증가하면 GDP가 약 0.17% 감소한다고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다른 요인이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한국의 인구구조 변화로 2050년 GDP는 2022년 대비 28.38%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2022~2050년 연평균으로 전환하면 GDP는 약 1.18%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유진성 한경연 선임연구위원은 "경제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생산가능인구는 줄고 부양해야 할 인구는 늘어남에 따라 재정부담의 증가, 미래투자 감소 등 경제활력이 저하되면서 GDP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경제적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고용률 제고 및 규제 완화, 외국인 근로자 활용, 노동생산성 향상 등 정책 모색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고용률 상승이 GDP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만큼 노동경직성 완화 등 노동규제를 완화해 고용기회를 확대하고, 근로시간 유연화 정책도 확대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취지다.
한경연 관계자는 "임금피크제와 임금체계 개편 등을 함께 추진해 고령층의 고용 효율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기업들의 고용 여력을 증대시키고 청년들의 취업 기회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