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장기간 봉쇄조치 후 최근 경제활동 재개(리오프닝)에 나섰지만 수출입 개선 등 파급효과는 아직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중국 리오프닝 효과를 기대하는 한국 등의 경우 올 하반기 들어서야 대중 수출 등에 있어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17일 '중국 리오프닝의 국내 경제 파급영향 점검' BOK 이슈노트 보고서를 통해 "중국이 장기간의 봉쇄조치 이후 리오프닝을 하면서 글로벌 경기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변국에 대한 영향은 아직 가시화되지 않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경제는 리오프닝 이후 서비스 소비와 투자 등 내수를 중심으로 회복되고 있으나 대외 파급영향을 보여주는 수출입은 상대적으로 부진한 것으로 평가됐다. 한은은 "올 들어 중국 내 소비가 외식서비스, 화장품 등 대면활동 관련 부문을 중심으로 빠르게 반등하고 투자도 정부 지원 확대에 힘입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면서 "반면 대외거래는 수출이 1~2월까지 부진을 지속하다가 3월 들어 증가 전환하였으며 수입은 감소세를 이어가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중수출 비중이 높던 한국 역시 중국 리오프닝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부문별로는 기계, 철강 등 비IT 부문의 부진이 완화되고 있으나 반도체 등 IT 부문은 부진한 흐름이다. 반면 대중 수입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둔화 흐름을 보이다가 올 들어 '이차전지 재료' 등 원자재 수입을 중심으로 반등했다. 그 결과 1분기 중 대중 무역수지 적자폭이 확대됐다.
향후 대중 수출 역시 당분간 예상보다 약한 흐름을 보이다가 올 하반기로 접어들수록 IT 경기 부진 완화, 중국 내 재고 조정 등으로 점차 회복될 것이라는 게 한은 예상이다. 임 팀장은 "글로벌 IT 경기의 회복 시점 및 속도와 더불어 중국의 산업구조 변화 등이 대중 수출의 불확실성 요인으로 상존하고 있다"면서 "단기적으로는 중국 관광객 회복 여부도 국내 경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늦어지면서 올해 1분기 국내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성장을 기록할 가능성에 대해 임 팀장은 "중국 리오프닝이 지연되면서 우리 경제에 대한 성장 제고 효과가 예상보다 다소 낮아질 수는 있지만 경제성장률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어 리오프닝의 지연만으로는 예단하기는 어렵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