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AI기반정책관은 29일 아주경제가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개최한 '2023 제1회 초거대 AI 포럼'에서 주제 강연을 통해 AI 시장 흐름과 정책 방향을 설명했다.
AI 업체 오픈AI가 지난해 11월 출시한 챗GPT는 서비스 시작 5개월 만에 이용자 수 100만명을 넘어섰다. 구글은 지난달 6일 대화형 AI 바드를 공개했고 마이크로소프트(MS)는 이에 질세라 챗GPT를 탑재한 검색 엔진을 이튿날 선보였다. 같은 달 소셜미디어 플랫폼 메타는 대화형 챗봇 라마를 개발 중이라는 소식을 직접 밝혔다.
이들 경쟁 업체는 각 사 개발 모델을 중심으로 서비스 고도화에 한창이다. 초거대 AI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속도전을 진행 중이다. 이날 엄 정책관은 "(챗GPT와 같은 초거대 AI 서비스들이) 사회적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면서 "이는 일반인들도 AI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신호탄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엄 정책관은 "최신 정보를 미반영하고 거짓 답변을 하는 등 한계가 지적되고 있긴 하나 챗GPT를 시작으로 AI가 국민 일상 속으로 들어오고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금융·교육·미디어·의료·법률·유통 등 전 산업에 걸쳐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고 짚었다.
정부는 이러한 시장 흐름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정책적 노력을 펼치고 있다. 지난 1월 AI 일상화 및 산업 고도화 계획을 발표하며 범정부 차원의 종합적인 정책을 수립했다. 이에 따라 데이터 활용, 인재 양성 등 부문에 투자를 늘려 AI 기술 기반 다지기에 집중하고 있다. 앞서 정부는 2019년 처음으로 '2020년 AI 국가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엄 정책관은 초거대 AI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해 대규모 데이터 학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기조에 따라 정부는 기업·기관이 더 쉽게, 더 많은 데이터를 활용토록 공공 데이터 등을 공유하겠다고 했다. 현재 관련 AI 기본법이 상임위원회를 통과한 상태다. 데이터 이용 활성화 등을 주 목표로 제정된 데이터3법(개인정보보호법·신용정보법·정보통신망법)이 개정돼 시행 중이다.
스탠퍼드대 AI 연구소(HAI)에 따르면 지난 2021년 기준 국내 AI 기술 경쟁력은 미국(100%·최고 수준)과 비교해 89.1%에 달하는 수치를 기록했다. 중국은 93.3%로 가장 높았고, 유럽(92.9%)이 뒤를 이었다. 일본은 86.9%로 한국 다음 순위였다. HAI가 AI 논문 발표·특허 출원을 고려해 분석한 결과다.
한국의 경쟁력이 해마다 강화되는 건 긍정적인 부분이다. 해당 HAI 조사 결과, 국내 AI 기술 경쟁력은 미국 대비 2017년 78.1%, 2018년 81.6%, 2019년 87.4%, 2020년 87.8% 수준으로 오르고 있다. 엄 정책관은 "미국 기준 지표를 기준으로 보면 (우리나라가) 기술 격차를 꾸준히 좁혀나가고 있다"고 강조하며 국내 법·제도 개선이 꼭 수반돼야 한다고 했다.
그는 "(초거대 AI 서비스 등) 법과 제도 관련 부분과 사회 이슈 관련 부분들을 잘 추출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현재 검토 중"이라고도 언급했다. 이어 "AI 발전을 위해 데이터와 컴퓨팅 파워 두 핵심 인프라에 대한 인재 양성도 확대해 AI 기술 기반 조성이 충분히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