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누리카드 이용자 중에 60대 이상이 약 50%, 장애인이 20~30%가 됩니다. 문화시설까지 이동하는 서비스도 함께 제공해야 합니다.”
“문화누리카드 사용을 거절 당하는 경험을 하면, 다음 번에 가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이전에 확인할 수 있도록 누리집(홈페이지) 검색 기능과 설명을 강화하면 좋을 것 같아요.”
문화누리카드 지원 사업은 6세 이상(2017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기초생활수급자, 법정차상위계층, 한부모 가족의 문화예술·여행·체육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교육 급여의 경우 수급자로 선정된 초·중·고 학생 외에 나머지 가구원도 통합문화이용권을 신청해 지원받을 수 있다. 2022년 대비 4만명이 증가한 267만명에게 연간 11만원을 지원한다.
문화누리카드는 문화의 가치와 힘을 생각하게 했다. 업무보고에 참석한 정보람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음악을 통한 발달장애 치유, 노인의 치매 예방, 관계 맺기 등의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에도 문화누리카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라고 제안했다.
문화는 나눌수록 커진다. 정 부연구위원은 “저소득층 낙인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중산층에게 소득에 따른 자부담을 하게 해 문화누리카드를 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전체 파이를 키우는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라고 짚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차이에 맞는 접근 방식도 필요하다. 이윤주 전북문화관광재단 교육문화팀장은 “지방에서는 무료로 진행하는 공연이 많이 있기 때문에, 문화누리카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라며 “여행에 대한 수요를 고려해 ‘여행 투어 패키지’ 등 다양한 방안을 고심 중이다”라고 말했다.
정병국 위원장은 “문화누리카드 예산은 2006년 26억원에서 시작해 올해 2900억원대로 100배가 늘어났다. 수혜자는 약 270만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국민이 소외 없이 문화를 향유하고 있는가에 대해선 아직 갈 길이 멀다고 생각한다”라며 현장 의견을 반영한 촘촘한 정책을 세우겠다“고 전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지난 2월 22일부터 3월 23일까지 대국민 현장 업무 보고를 추진했다. 업무보고는 예술위의 지원 사업 및 운영시설별로 △신나는예술여행, △예술인력, △시각예술·미술관 운영, △연극·무용, △청년예술가, △예술극장 운영, △문학, △다원·융합예술, △국제교류, △문화예술후원, △음악·전통예술, △뮤지컬, △아르코예술기록원 운영, △통합문화이용권 등 주제를 구분해 진행됐다. 대국민 현장 업무 보고는 원활한 소통의 장으로 관계자들에게 좋은 평가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