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엔데믹(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 이후 촉발된 물가와 금리 급등이 진정돼도 예전 수준으로 돌아갈 가능성은 극히 적을 것이다.”
찰스 굿하트 런던정치경제대(LSE) 명예교수는 21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23 아시아·태평양금융포럼(APFF)'에서 ’인플레이션과 인구통계학‘ 발표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고령화로 인한 국가 재정 부담 폭증도 필연적 요인으로 꼽았다. 이를 촉발할 트리거는 간병이다. 고령층에 대한 간병 업무는 기계가 대체할 수 없다. 일례로 일본은 전체 노동력 중 20%가 간병 관련 일을 하는 상황이다. 굿하트 교수는 이로 인해 민간 소비 역시 간병 관련 지출 비중이 커질 수밖에 없고 공공재정이 져야 하는 부담도 기하급수로 늘어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해결하려면 결국 젊은 사람들에게 더 많은 세금을 부과할 수밖에 없다. 이후 젊은 층은 현 생활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더 높은 임금을 요구할 것이고 이는 인플레이션을 촉발하는 또 다른 요인으로 작용한다. 결국 고령화와 인플레이션이 맞물리는 악순환이 꾸준히 이어지는 것이다.
향후 이러한 현상은 더욱 가속화할 수밖에 없다. 그 중심에는 중국이 있다. 그간 중국은 막대한 인구를 바탕으로 값싼 노동력을 제공해왔지만, 최근 인구가 빠르게 줄며 임금이 급격히 뛰고 있다. 실제로 2000년 당시 월 781위안(당시 기준 약 94달러)에 그쳤던 중국 도시 근로자 평균 임금(민간기업)은 2021년 5240위안(약 750달러)까지 치솟았다.
출산율이 꾸준히 줄고 있는 것도 문제다. 중국의 합계 출산율은 1970년대 가임여성 1명당 6.09명에서 지난해 1.18명까지 떨어졌다. 이런 추세라면 2070년 중국 고령 인구 비중은 13.7%에서 36.9%로 세 배가량 뛰게 된다. 같은 기간 중국 생산가능인구는 9억8000만명에서 5억8000만명으로 줄게 된다.
굿하트 교수는 “이러한 이유로 물가와 금리 급등이 진정돼도 인플레이션(물가 상승)과 고금리 기조는 향후 몇십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향후 몇십년간 일반적인 기준금리는 3~4% 정도, 인플레이션율은 연 2~3% 정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