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9일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북한의 이번 도발은 한·일 정상회담이 열렸던 지난 16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을 발사한 지 사흘 만이다.
이날 탄도미사일은 현재 진행 중인 한·미연합연습 '자유의 방패'(프리덤실드·FS)에 대한 반발성 도발이라는 관측이다.
합참에 따르면 북한의 탄도미사일은 800여km 비행 후 동해상에 탄착했다. 세부제원은 한·미 정보당국이 종합적으로 분석 중에 있다.
합참은 "북한의 연이은 탄도미사일 발사는 한반도는 물론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중대한 도발 행위로 '유엔 안보리 결의'를 명백히 위반한 것임을 강력히 규탄하며 이를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군은 연합방위태세하에 계획한 연합연습과 훈련을 강도 높고 철저히 시행하면서 북한의 어떤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기초로 확고한 대비태세를 유지해 나갈 것이다"라고 전했다.
합참은 앞서 이날 오전 11시 5분께 북한이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단거리탄도미사일 1발을 포착했다고 발표했다. 올해 들어 일곱 번째 탄도미사일 발사다.
최근 북한의 도발 추이를 보면 FS 본연습 시작 하루 전인 지난 12일 잠수함발사 순항미사일 2발을 쏜 데 이어 14일에는 단거리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한·일 정상회담이 열린 16일에는 ICBM 화성-17형을 발사하며 연속 도발을 이어갔다.
화성-17형은 비행거리가 1만3000㎞ 이상으로, 정상각도 발사가 성공한다면 미국 본토 전역을 타격권에 넣을 수 있어 일명 '괴물 ICBM'으로 불린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 16일 ICBM 발사를 현지지도하면서 "반공화국 군사적 준동이 지속되고 확대될수록 저들에게 다가오는 돌이킬 수 없는 위협이 엄중한 수준에 이르게 된다는 것을 스스로 깨닫게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응해 미국 측은 '죽음의 백조'라 불리는 전략자산 B-1B 랜서 전략폭격기를 한반도에 전개했다. B-1B는 B-52, B-2와 함께 미국의 3대 전략폭격기 중 하나로 꼽힌다. 스텔스 기능과 장거리 전략 타격 능력 등을 갖춘 기종이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북한이 최근 연속 도발을 이어가는 것에 대해 "한·미 군사훈련에 대한 반발, 한·미·일 대응에 대한 탐색으로 한반도 문제의 주도권 과시 등 다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이날 탄도미사일은 현재 진행 중인 한·미연합연습 '자유의 방패'(프리덤실드·FS)에 대한 반발성 도발이라는 관측이다.
합참에 따르면 북한의 탄도미사일은 800여km 비행 후 동해상에 탄착했다. 세부제원은 한·미 정보당국이 종합적으로 분석 중에 있다.
합참은 "북한의 연이은 탄도미사일 발사는 한반도는 물론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중대한 도발 행위로 '유엔 안보리 결의'를 명백히 위반한 것임을 강력히 규탄하며 이를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합참은 앞서 이날 오전 11시 5분께 북한이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단거리탄도미사일 1발을 포착했다고 발표했다. 올해 들어 일곱 번째 탄도미사일 발사다.
최근 북한의 도발 추이를 보면 FS 본연습 시작 하루 전인 지난 12일 잠수함발사 순항미사일 2발을 쏜 데 이어 14일에는 단거리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한·일 정상회담이 열린 16일에는 ICBM 화성-17형을 발사하며 연속 도발을 이어갔다.
화성-17형은 비행거리가 1만3000㎞ 이상으로, 정상각도 발사가 성공한다면 미국 본토 전역을 타격권에 넣을 수 있어 일명 '괴물 ICBM'으로 불린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 16일 ICBM 발사를 현지지도하면서 "반공화국 군사적 준동이 지속되고 확대될수록 저들에게 다가오는 돌이킬 수 없는 위협이 엄중한 수준에 이르게 된다는 것을 스스로 깨닫게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응해 미국 측은 '죽음의 백조'라 불리는 전략자산 B-1B 랜서 전략폭격기를 한반도에 전개했다. B-1B는 B-52, B-2와 함께 미국의 3대 전략폭격기 중 하나로 꼽힌다. 스텔스 기능과 장거리 전략 타격 능력 등을 갖춘 기종이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북한이 최근 연속 도발을 이어가는 것에 대해 "한·미 군사훈련에 대한 반발, 한·미·일 대응에 대한 탐색으로 한반도 문제의 주도권 과시 등 다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