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3/02/26/20230226174905726744.jpg)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사진=연합뉴스]
정진석 의원이 지난 4년 동안 끊었던 담배도 다시 피우면서, 처음엔 (비대위원장직을) 완강하게 거절했다."(권성동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해 9월 7일 당시 권성동 원내대표의 '삼고초려' 끝에 비대위원장직을 수락했다. 용단이었다. 정 위원장은 비대위원장직을 수락하며 "지금 비대위원장직을 독배라고들 한다. 저는 독배라서 더 이상 피해선 안된다 생각했다"고 했다.
정 위원장은 '혼돈의 여당'을 빠르게 재정비했다는 평을 받는다. 그가 비대위원장직을 맡을 당시 국민의힘은 극심한 혼란 속에 있었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법원에 신청한 가처분 신청이 인용되면서 '주호영 비대위' 체제가 무너졌고, 당의 위기를 수습할 당 지도부도 공백 상태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윤핵관 맏형'으로서 대통령과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다는 점과 '중원' 충청권에서 지역구를 맡고 있어 지역색이 약하다는 점이 정 위원장의 '강점'으로 꼽혔다. 당내 혼란 수습과 더불어 대야 투쟁의 선봉장으로서 손색이 없다는 평가를 줄곧 받아와서다.
그는 취임 후 첫 일성으로 "윤석열 정부가 혼신의 힘을 다해 일할 수 있도록 집권여당부터 정신을 차리겠다. 당을 신속하게 정비하겠다"고 강조했고, 그 약속을 지켰다.
그 과정에서 당연히 부침도 있었다. 정 위원장이 비대위원으로 임명하고자 했던 최재형 의원이 직을 고사했고 비대위원으로 인선됐던 소위 '윤핵관' 주기환 전 대검찰청 수사관도 사의를 표명, '정진석 호'는 출발부터 흔들린다는 지적도 들었다.
하지만 정 위원장은 강한 주도권을 갖고 빠르게 내홍을 잠재웠다. 당무감사 결과 발표를 차기 지도부에 넘겨 '친윤(親尹) 줄세우기' 논란을 일축했고, 갑론을박이 이어지던 전당대회 개최 시점도 '3월 초'로 못 박았다. '당원 100% 투표 전당대회 룰(규칙)'과 보수정당 최초 '결선투표' 도입이란 새로운 규칙을 일사천리로 도입했다.
'3·8 전당대회' 결과 따라 임기 종료…"당 화합 이끌었다" 호평
정 위원장은 '3·8 전당대회' 결과에 따라 오는 3월 8일 또는 3월 12일 비대위원장 임기를 마친다. 정 위원장과 함께 비대위에서 호흡을 맞춰 온 정점식 비대위원은 이날 본지와 통화에서 "그 당시만 해도 우리 당이 굉장히 위기 상황이었다. 당의 상황이 결국은 대통령 지지도까지, 국정운영 지지도까지 하락을 시켰다"고 돌아봤다.
그러면서 "(정 위원장은) 그동안 다른 것 없이 우리 당원을 아우르고 전당대회를 준비하면서 당의 안정을 찾아 갔다"며 "그에 따라 대통령 국정 수행 지지도도 올라가고 정말 당을 잘 이끌었다"고 평가했다.
정 위원장의 비서실장직을 맡았던 노용호 의원도 이날 본지 기자에 "(정 위원장이) 그동안 당의 화합과 안정을 위해 노력했고 성과를 냈다"라며 "당원들의 권리를 강화했고 당정 간의 원만한 소통과 협력을 이끌어 왔다"고 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3/02/26/20230226175011753657.jpg)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는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앞줄 가운데), 주호영 원내대표(앞줄 왼쪽), 김석기 사무총장(앞줄 오른쪽)과 비대위원들 [사진=연합뉴스]
정 위원장은 26일 그간 소회를 묻는 아주경제 기자와의 대화에서 "비대위원장을 벗어던지면 참 홀가분할 것 같다. 지난 6개월, 제 정치인생 중 가장 중요한 시기였는데 대과없이 졸업하는 것 같아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비대위 출발 당시를 회상하며 "독배니까 피한다는 말을 듣기 싫어 눈 딱 감고 수락하긴 했지만, (이준석 전 대표가 제기한) 가처분 문제가 여전히 수습되지 않아 출발부터 혼란스러웠다"는 고충도 이제야 털어놨다.
그러면서도 "비대위원과 의원들이 협조적이었던 덕분에 대과없이 마칠 수 있게 된 것 같다"며 "민주당과의 여론전에서 제가 '빅마우스·빅스피커' 역할을 해야한다고 생각했고, 결코 밀리지 않았다고 자부한다"고 자부심도 보였다.
당원 투표 100% 전당대회 룰에 대해 윤 대통령의 개입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선 "순 구라(거짓말)"라고 강하게 반박했다.
정 위원장은 "지방 현장 최고위와 방문을 통해 당의 결속을 지속적으로 강조했고, 당원들의 만남에서 큰 호응을 느끼면서 당원 100% 투표도 구상하게 됐다"고 '정진석 비대위'가 구상한 룰임을 강조했다.
당의 어른답게 치우침없이 혼란의 국힘 내홍을 질서잡으시고
전당대회 치를수 있도록 리딩하신점 적극 지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