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3/01/08/20230108214614508167.jpg)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일 조선소년단 제9차 대회 대표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일 보도했다. [사진=연합뉴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8일 39번째 생일을 맞았지만, 북한 관영매체는 생일과 관련해 특별한 언급을 하지 않았다. 일각에서 우려했던 미사일 발사 등 도발 재개도 없었다.
이날 저녁까지 조선중앙통신과 조선중앙TV, 조선중앙방송 등 주요 관영매체에서는 김 위원장의 생일과 관련한 기사가 나오지 않고 있다. 단지 충성과 애국을 강조했다.
앞서 북한이 연초부터 도발 수위를 높인 데다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남측을 '적'으로 규정해 김 위원장 생일에 즈음해 미사일 발사 등을 감행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하지만 이날 무력 도발 징후는 포착되지 않았다.
최근 평양 미림비행장 북쪽의 열병식 훈련장에 최대 1만3500명 병력이 운집한 정황이 포착돼 열병식이 임박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하지만 이는 김 위원장 생일이 아닌 다음 달 8일 북한군 창건 75주년 기념행사 준비 일환으로 보인다는 주장도 있다.
한편 북한은 김일성·김정일의 생일을 각각 태양절(4월 15일)과 광명성절(2월 16일)로 정해 기념하고 있다. 하지만 김정은 위원장의 생일은 아직 공식화하지 않았고, 매년 특별한 기념행사나 언급이 없이 지나갔다. 북한 새해 달력에도 8일은 김 위원장 관련 특별한 표기는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