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국내에서 필수적인 방송매체는 스마트폰인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이하 OTT) 이용률은 전년보다 높아졌으며, 주로 가정에서 스마트폰을 통해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는 2022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올해 6월부터 8월까지 전국 4287가구에 거주하는 만 13세 이상 남녀 6708명을 방문 면접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올해 조사결과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스마트폰 보유율은 93.4%로 최근 3년간 비슷한 수준(20년 93.1%, 21년 93.4%)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60대 스마트폰 보유율이 93.8%로 증가해, 스마트 기기 이용이 고령층으로 확대되는 양상이다. 또한, 스마트 시계 보유율도 8.9%(20년 2.2%)로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냈다.
스마트폰을 일상생활 필수매체로 인식하는 비율은 70%로 나타났다. 반면 TV는 27.5%로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이며, PC(데스크톱·노트북), 신문, 라디오 등을 필수매체로 인식하는 비율은 2% 미만이다. 연령별로는 10대(94.5%)~40대(89.2%)가 스마트폰을 필수매체로 선택한 비율이 90% 수준으로 나타났다. 60대는 46.6%로 지속적 증가하는 추세다. 스마트폰 보유율 증가와 더불어 영향력도 고연령대로 확산되고 있다.
OTT 이용률은 72.0%로 전년 대비 2.5%포인트(p)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20대 이용률이 95.9%로 가장 높고, 10대와 30대는 90%대의 이용률을 보였다. 40대부터 연령대가 높을수록 OTT 이용률은 낮아졌다.
OTT 이용 시 사용하는 기기는 대부분 스마트폰(89.1%)으로 나타났다. TV 수상기(셋톱박스 등)를 이용하는 비율은 올해 16.2%(20년 8.5%)로, 최근 3년간 지속 증가하는 추세다. 주로 이용하는 OTT는 유튜브 66.1%, 넷플릭스 31.5%, 티빙 7.8%, 웨이브 6.1%, 쿠팡플레이 5.2% 순이며, 모두 증가세를 보였다.
OTT 이용 장소는 집이 주중(79%)과 주말(94.5%)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교는 주중 10.6%와 주말 2.0%로, 교통수단은 주중 5.4%와 주말 1.1% 등으로 조사됐다.
주 5일 이상 스마트폰 이용률은 90.1%며, TV 이용률은 75.5%로 전년(73.4%) 대비 소폭 증가했다. 연령별 매체 이용 빈도를 살펴보면, 연령이 높을수록 TV 이용 빈도가 높았다. TV 이용률이 가장 높은 70세 이상은 스마트폰 이용률이 50.7%로, 다른 연령대의 절반 수준이다.
코로나19 이후 증가했던 TV 이용시간은 하루 평균 2시간 36분으로 전년보다 감소했으며, 라디오 이용 시간은 하루 평균 10분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이용 시간은 하루 평균 1시간 52분으로 조사됐다.
1인 가구의 TV 보유율은 90.4%로, 전체 가구(95.4%) 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전체가구와의 차이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1인 가구의 유료방송 가입률 역시 85.3%로 전체 가구(92.7%) 보다 낮았다.
방통위는 이번 보고서와 원시자료를 방송통계포털에 공개하고, 국민 누구나 편리하게 내려받아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예정이다.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는 2022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올해 6월부터 8월까지 전국 4287가구에 거주하는 만 13세 이상 남녀 6708명을 방문 면접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올해 조사결과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스마트폰 보유율은 93.4%로 최근 3년간 비슷한 수준(20년 93.1%, 21년 93.4%)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60대 스마트폰 보유율이 93.8%로 증가해, 스마트 기기 이용이 고령층으로 확대되는 양상이다. 또한, 스마트 시계 보유율도 8.9%(20년 2.2%)로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냈다.
스마트폰을 일상생활 필수매체로 인식하는 비율은 70%로 나타났다. 반면 TV는 27.5%로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이며, PC(데스크톱·노트북), 신문, 라디오 등을 필수매체로 인식하는 비율은 2% 미만이다. 연령별로는 10대(94.5%)~40대(89.2%)가 스마트폰을 필수매체로 선택한 비율이 90% 수준으로 나타났다. 60대는 46.6%로 지속적 증가하는 추세다. 스마트폰 보유율 증가와 더불어 영향력도 고연령대로 확산되고 있다.
OTT 이용 시 사용하는 기기는 대부분 스마트폰(89.1%)으로 나타났다. TV 수상기(셋톱박스 등)를 이용하는 비율은 올해 16.2%(20년 8.5%)로, 최근 3년간 지속 증가하는 추세다. 주로 이용하는 OTT는 유튜브 66.1%, 넷플릭스 31.5%, 티빙 7.8%, 웨이브 6.1%, 쿠팡플레이 5.2% 순이며, 모두 증가세를 보였다.
OTT 이용 장소는 집이 주중(79%)과 주말(94.5%)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교는 주중 10.6%와 주말 2.0%로, 교통수단은 주중 5.4%와 주말 1.1% 등으로 조사됐다.
주 5일 이상 스마트폰 이용률은 90.1%며, TV 이용률은 75.5%로 전년(73.4%) 대비 소폭 증가했다. 연령별 매체 이용 빈도를 살펴보면, 연령이 높을수록 TV 이용 빈도가 높았다. TV 이용률이 가장 높은 70세 이상은 스마트폰 이용률이 50.7%로, 다른 연령대의 절반 수준이다.
코로나19 이후 증가했던 TV 이용시간은 하루 평균 2시간 36분으로 전년보다 감소했으며, 라디오 이용 시간은 하루 평균 10분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이용 시간은 하루 평균 1시간 52분으로 조사됐다.
1인 가구의 TV 보유율은 90.4%로, 전체 가구(95.4%) 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전체가구와의 차이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1인 가구의 유료방송 가입률 역시 85.3%로 전체 가구(92.7%) 보다 낮았다.
방통위는 이번 보고서와 원시자료를 방송통계포털에 공개하고, 국민 누구나 편리하게 내려받아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