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 100쌍 중 7쌍은 '다문화 결혼'...코로나로 국제결혼 2년 연속 내림세

2022-11-03 12:00
  • 글자크기 설정

통계청, 3일 '2021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발표

작년 다문화 결혼 1만3926건…전년 대비 13.9%↓

지난해 출생아 중 다문화가정 자녀 비중은 5.5%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결혼한 부부 100쌍 중 7쌍은 다문화 부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혼인 비중은 2019년(10.3%) 이후 2년 연속 감소하는 추세다.

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를 보면, 지난해 다문화 결혼은 1만3926건으로 전년 대비 13.9%(2251건) 감소했다. 다문화 결혼은 부부 모두 혹은 어느 한쪽이라도 외국인이거나 귀화자인 경우를 말한다. 
지난해 전체 결혼(19만3000건)에서 다문화 결혼 비중은 7.2%였다. 이 비중은 2015년 7.4%에서 2016년 7.7%, 2017년 8.3%, 2018년 9.2%, 2019년 10.3%로 5년 연속 증가했다. 그러나 2020년 7.6%로 감소한 이후 2년 연속 내림 곡선을 그리고 있다.

노형준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코로나19 사태 영향으로 해외로 출국하거나 국제결혼을 위해 입국하는 건수가 줄면서 자연스럽게 혼인 건수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유형별로 보면 한국인 남편과 외국인 아내와의 결혼이 62.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아내의 출신 국적은 중국(23.9%), 베트남(13.5%), 태국(11.4%) 순이었다. 

다문화 혼인 중 외국인 남편과 결혼한 비중은 22.0%로 전년 대비 1.2% 증가했다. 남편의 출신 국적은 미국(9.4%), 중국(8.5%), 베트남(3.2%) 순이었다. 전년 대비 미국 비중은 2.4%포인트 늘었지만, 그 외 대부분 국적 비중은 유사하거나 소폭 증가했다. 

다문화 혼인을 한 남편의 평균 초혼 연령은 35.1세, 아내는 30.5세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남편은 0.9세 감소했지만, 아내는 1.3세 늘었다. 

다문화 결혼을 한 남편 나이는 45세 이상 비중이 27.7%로 가장 많았고, 30대 초반 21.8%, 30대 후반 17.1% 순이었다. 지난해 대비 35세 이상 비중은 줄었지만, 34세 이하 비중은 늘었다. 다문화 결혼을 한 아내의 나이는 20대 후반이 26.0%로 가장 많고, 30대 초반 25.1%, 30대 후반 14.5% 순이었다.

다문화 가정에서 태어난 출생아는 1만4322명으로, 전년 대비 12.8%(2099명) 감소했다. 2020년에는 출생아 100명 중 6명이 다문화가정 자녀로 전체 출생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지만, 지난해에는 이 흐름이 꺾였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전체 혼인 건수가 크게 감소한 게 전체 출생아 수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다문화 가정 출생아 수는 당분간 감소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노 과장은 "2020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혼인 건수가 많이 감소했다"며 "전체 혼인 건수 감소는 전체 출생아 수와 다문화 출생 건수에 영향을 줘 향후 2~3년간 지금의 흐름이 이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