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전경련]
국내 기업 대출 규모가 코로나19 사태 이전과 비교해 345조원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레고랜드 사태로 인한 자금 경색이 금융시장에 혼란을 불러온 가운데 국내 기업들의 채무불이행 사태가 촉발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31일 발표한 '기업대출 부실이 우려되는 5가지 징후'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 대출의 부실 징후로 △코로나19 이후 급증한 기업대출 △기업들의 대출 상환능력 악화 △높은 변동금리 대출 비중 △부동산 등 취약업종으로의 대출 쏠림현상 △비은행기관을 통한 대출 비중 증가 등 5가지 요인이 꼽혔다.
코로나19 이후 기업대출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2009~2019년 말 기업 대출이 연평균 4.1% 증가하는 데 그쳤다. 2019년 말~2022년 상반기까지 2년 반 동안 연평균 증가율은 12.9%에 달했다.
그 결과 기업 대출금액은 2019년 말 976조원에서 2022년 상반기 1321조3000억원으로 2년 6개월여 만에 35.4%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 위기 전 10년 동안 증가한 대출액(324조 4000억원)보다 많다.
[자료=전경련]
국내 기업들은 대출금액 자체가 크게 늘었을 뿐 아니라 상환능력도 급속히 취약해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을 제외한 16개국 기업들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평균 41.1%에서 올해 1분기 40.6%로 0.5%포인트 감소하며 상환능력이 개선됐다. 같은 기간 한국 기업들의 DSR은 37.7%에서 39.7%로 2.0%포인트 늘어났다.
기업대출의 경우 금리가 오르면 원리금 상환 부담이 늘어나는 변동금리 대출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 9월 현재 대출 잔액 기준으로 기업 10곳 중 7곳 이상이 변동금리 대출을 받았다. 고정금리 대출은 27.3%에 불과했다. 신규대출 중 변동금리 비중은 2020년 2월 58.8%에서 올 7월 73%까지 높아졌다.
[자료=전경련]
올 상반기 기준 취약 업종·경기민감 업종인 부동산업과 도소매업, 숙박음식업의 대출집중도는 각각 2.8과 2.1, 2.0으로 나타나는 등 국내총생산(GDP) 비중 대비 가장 많은 대출이 발생했다. 특히 전체 예금취급기관 중 비은행기관을 통한 기업대출 비중은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인 29.7%를 기록했다.
전경련은 대응책으로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 법인세제 개선을 통한 세부담 경감 등을 제시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과거 금융위기 때보다 금리가 더욱 빠른 속도로 오르고 있어 기업들이 불어나는 상환부담을 견디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금리인상 속도 조절, 세부담 경감뿐만 아니라 유사시 기업 유동성 지원을 위한 컨틴전시 플랜도 사전에 강구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