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한 경기도 평택시의 한 양돈농장 입구에서 9월 29일 오전 관계자가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9/29/20220929144004810419.jpg)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한 경기도 평택시의 한 양돈농장 입구에서 9월 29일 오전 관계자가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다. 올 5월 강원도 홍천에서 올해 첫 확진 농가가 나온 이후 산발적인 발생 추이를 보였지만 이달 초 춘천에서 두 곳의 농가가 연이어 확진 판정을 받은 이후 28일 경기 김포와 파주에서도 확진 사례가 발생했다.
올 들어 높은 수준을 유지했던 돼지고기 가격은 추석 이후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ASF 확산으로 다시 오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중수본은 확진 판정 즉시 해당 농장의 돼지 전량을 긴급 살처분하는 등 대처에 나섰다. 확진 판정을 받은 김포의 농장의 사육규모는 약 3000마리, 파주는 700마리 정도다.
이어 중수본은 농장 간 수평전파 차단을 위해 28일 오후 5시부터 48시간 동안 강원도 철원을 포함한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의 돼지농장‧도축장‧사료공장 등 축산 관계 시설 종사자 및 차량에 대해 일시이동중지명령(Standstill)을 발령한 상태다.
ASF는 올 들어 5월 홍천, 8월 양구의 농가가 확진 판정을 받으며 비교적 산발적인 발생 추이를 보였다. 하지만 추석 이후 춘천에서만 이틀 새 두 곳의 농가가 확진 판정을 받은 이후 28일 김포와 파주에서 연이어 발생하는 등 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번에 확진 판정으로 살처분 조치가 이뤄진 3700마리 돼지는 올 6월 기준 전체 사육 마릿수가 1117만마리라는 점을 고려할 때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규모는 아니다.
다만 ASF가 확산될 경우 돼지고기 가격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앞서 ASF가 처음 발생했던 2019년 농가 확산에 따른 대규모 살처분 영향으로 같은해 9월 삼겹살 가격이 1kg당 2만560원을 기록하며 전월 대비 8.7%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