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스페셜] 알고보면 지한파… 시진핑의 '좌청룡' 리잔수

2022-09-15 06:00
  • 글자크기 설정

"'호형호제' 사이"···習의 비서실장 출신

대기만성 정치인···환갑에 구이저우성 1인자로

가는 곳마다···한국기업 투자 유치 '적극'

소탈한 실용주의자···때론 詩 쓰는 문학소년

2019년 3월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양회 석상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오른쪽)이 리잔수 전인대 상무위원장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한·중 양국은 영원한 이웃으로, 수교 30년은 양국 관계에 특별한 의미가 있다. 양국이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심화해 나가기 위해 첫째로 정치적 상호 신뢰를 증진하고, 특히 고위급 왕래를 강화해야 한다.”(중국 관영 신화통신)

중국 공산당 서열 3위 리잔수(栗戰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장이 지난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 참석차 방중한 박병석 전 국회의장과 회동했을 때 한 말이다. 그로부터 약 7개월 후 리 상무위원장이 직접 한국을 찾는다. 

2014년 7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방한 이후 한국을 찾는 최고위급 중국 측 인사다. 코로나19 발발 이후 중국 공산당 최고위급 지도부인 정치국 상무위원이 처음 한국을 방문하는 것이기도 하다. 시진핑 주석의 복심으로 알려진 리 상무위원장은 한국과도 인연이 깊다. 정치인 리잔수는 철저한 실용주의자지만 사석에선 시(詩)를 즐겨 쓰는 로맨티스트이기도 하다. 
 
"'호형호제' 사이"···習 비서실장 출신
리잔수 상무위원장은 시진핑 주석 비서실장 출신이다. 과거 비서실과 경호실을 합친 성격인 당 중앙판공청 주임을 역임했다.

시 주석 일정과 경호는 물론 시 주석에게 전달되는 모든 정보를 총괄하며 시 주석이 가는 곳마다 곁을 지켰다.

2014년 시 주석 방한 당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도, 2015년 9월 문재인 전 대통령 방중 당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도, 2017년 7월 베를린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도 시진핑 왼편에는 항상 그가 앉아 있었다. 시진핑의 ‘좌청룡 리잔수’란 별명이 붙은 이유다. 

리잔수는 허베이성 남서부 핑산(平山)현 산간 벽촌 출신이다. 이곳은 공산당 혁명성지 시바이포(西栢坡)가 소재한 곳으로 잘 알려졌다. 리잔수는 이곳에서 3대에 걸쳐 항일열사, 공산당 혁명전사를 배출한 ‘홍색가문’(紅色家門)에서 1950년 8월 태어났다. 

시 주석과 인연을 맺은 것은 198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향인 허베이성에서 관료생활을 시작한 그가 1983년 허베이성 우지(無極)현 서기로 재직할 당시 이웃 정딩(正定)현 서기로 있던 시진핑과 친분을 쌓았다. 사실 시진핑과 리잔수는 각각 1953년, 1950년생으로 나이가 비슷한 데다 혁명 집안 자제로 문화대혁명 때 박해를 받고 농촌 하방 경험이 있다는 것까지 공통분모가 많다. 

강효백 경희대 교수는 과거 본지 '중국 정치7룡' 칼럼에서 “당시 시진핑은 나이가 세 살 위인 데다 지역에서 잔뼈가 굵은 리잔수에게 많은 조언을 구했다. 혁명열사 고관대작 가문 출신인 둘은 서로 호형호제 의기투합하며 가끔씩 술자리도 함께하면서 돈독한 교분을 맺었다”고 적었다.

리잔수는 ‘시진핑 고향’인 산시(陝西)성에서 근무할 당시에도 시진핑 일가를 잘 챙겼다. 2000년 시 주석 부친인 공산당 혁명원로 '시중쉰(習仲勳) 문선' 출판기념회에 직접 참석해 시진핑 일가와 함께 기념사진을 찍는가 하면 2002년 시중쉰이 사망했을 때는 시진핑 일가에 특별히 조전도 보냈다. 조전에서 그는 스스로를 "시중쉰 사상과 정신의 영향을 받은 후대"라고 칭하며 깊은 존경심을 표했다. 
 
대기만성 정치인···환갑에 구이저우성 1인자로
‘시진핑 고향’ 산시성에서 조직부장, 시안시 당서기를 역임한 그는 2003년 당시 후진타오 국가주석이 추진하던 동북진흥 개발전략에 따라 헤이룽장성으로 자리를 옮겼다. 2007년 헤이룽장성 성장에 올랐을 때 이미 57세로 적지 않은 나이였다.

그때까지만 해도 중국 정계에서 크게 두각을 드러내지 못했던 그가 중앙수뇌부 요직에 오를 것이란 예측은 아무도 하지 못했다. 2008년 양회(兩會)에서 취재진이 그에게 은퇴 후 하고 싶은 일을 물었을 정도다. 그는 “헤이룽장성 인민을 위해 자원봉사하고 싶다”고 대답했다. 

그런데 그는 60세 되던 2010년 구이저우성 당서기로 전격 발탁되며 뒤늦게 승진가도를 달렸다. 중국에서 가장 가난한 지역으로 유명한 구이저우성에서 빈곤 퇴치 사업에 전념했다. 당시 차기 지도자로 이미 내정됐던 시진핑도 2011년 중앙서기처 서기 신분으로 구이저우를 시찰했는데, 리잔수는 3박4일 내내 그를 지근거리에서 보좌했다. 그렇게 구이저우성 현지 탈빈곤, 농촌진흥, 교육사업에서 뚜렷한 성과를 낸 그는 중앙무대 진출을 위한 발판을 마련한다. 

지방 행정관료를 두루 거친 리잔수는 특히 개방적이고 개혁적인 면에서 시진핑 주석과 잘 통했다. 시진핑이 최고지도자에 오른 2012년 리잔수는 중앙판공청 주임으로 발탁되고, 이어 시진핑 집권 2기에는 중국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회에 서열 3위로 입성하며 전인대 상무위원장에까지 오른다. 그는 현재 72세 나이로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7인 중 최연장자다.

전인대 상무위원장으로 재임하는 동안 리잔수는 시진핑 주석 3연임을 위해 국가주석 임기 철폐 등 개헌을 추진하고,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안도 일사천리로 통과시켰다.

그는 다음 달 20차 당대회에서 ‘7상8하(67세는 유임하고 68세는 은퇴)' 관례에 따라 정치국 상무위원직에서 물러나 내년 3월 전인대 상무위원장에서 은퇴하는 수순을 밟을 것으로 예상된다. 
 
가는 곳마다···한국 기업 투자 유치 '적극'
리잔수 상무위원장은 사실 알고 보면 한국과 교류도 빈번히 이어왔다.  

그가 시안시 서기로 부임한 2002년은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한 해였다. 그는 시안시 서기로 부임하자마자 '중국의 WTO 가입과 한·중 경제협력 심포지엄'을 열 정도로 한국과 경제협력하는 데 힘을 쏟았다. 이듬해 3월엔 직접 시안 경제대표단을 이끌고 서울을 방문해 한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시안시 하이테크 산업단지 투자 유치 활동도 벌였다. 

중국 동포들이 모여 사는 헤이룽장성에서 부서기, 성장으로 근무할 당시에도 한국 기업 투자 유치에 적극적이었다. 2006년엔 한국 매체 특파원들만 특별 초청해 인터뷰를 했을 정도다. 당시 리잔수를 직접 인터뷰했던 최헌규 현 뉴스핌 베이징 특파원은 “리잔수는 한국 기업 투자 유치에 대한 기대가 컸다”며 “대장금 등 한국 TV 드라마를 좋아한다며 한류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고 회상했다. 

2006년 한국에서 열린 헤이룽장성 행사 주간에 수백 명에 이르는 대규모 투자 유치단을 파견하는가 하면 고(故) 이세기 한중친선협회장, 김한규 21세기한중교류협회장 등 한국 정·재계 인사들과도 만나 양국 간 경제협력을 논의하며 친분을 쌓았다. 
 
소탈한 실용주의자···때론 詩 쓰는 문학소년
리잔수 상무위원장을 만나본 사람들은 그를 ‘격식에 구애받지 않는 소탈한 성격의 실용주의자’로 묘사한다.

중국 시사잡지 '영도문췌(領導文萃)'는 리잔수가 구이저우성 서기로 부임했을 당시 “지프차를 타고 논밭이며 공장이며 빈곤 마을을 쉴 새 없이 돌아다녔다. 출발 전 비서나 기사조차 목적지를 모를 정도로 사전에 예고 없이 발길이 향하는 곳이면 어디든 시찰했다”고 보도했다. 

사실 그는 한때 기자 지망생이기도 했다. 과거 2008년 홍콩 봉황망과 인터뷰하면서 “원래는 기자가 되는 게 꿈이었다”며 “일을 시작한 후 여러 가지 이유로 기자가 되진 못했지만, 지금도 여전히 아마추어 신문 기자라 생각한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하지만 의외로 그는 로맨티스트 면모를 가끔 보이기도 했다. 일본 외교전문지 더 디플로맷은 리잔수는 과거 스스로를 "용감하고, 솔직담백하지만 가끔은 구제불능인 낭만주의자가 되기도 한다"고 표현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실제로 그는 시를 즐겨 쓰는 문학도로도 잘 알려졌다. 

"사내는 말을 탄 채 고향 만리 밖을 헤매고, 지사는 시를 읊으며 천 가닥 눈물이 흐르네. 한밤중 가을바람 부는 쑹화강에 비친 달과 두세 개 등불이 내 고향 같구나(兒男縱馬家萬裏 誌士吟詩淚千行 一夜秋風松江月 兩三燈火是故鄉)."

헤이룽장성에 부임했을 당시 그가 하얼빈 쑹화강변을 걸으며 지은 '강반사향(江畔思鄕·강변에서 고향을 그리워하다)'이란 시다. 이 시가 유명세를 타며 이후 그에겐 '시인 성장'이란 별명도 따라다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1개의 댓글
0 / 300
  • 儿男纵马家万里, 志士吟诗泪千行。
    一夜秋风松江月, 两三灯火是故乡。

    기사의 "裏"는 里의 오기로 보임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