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8월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조선 3사 CEO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8/19/20220819101018195262.jpg)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8월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조선 3사 CEO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최근 수주물량 확대에도 인력난을 겪고 있는 조선산업의 경쟁력 제고 방안을 마련해 발표하기로 했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9일 서울에서 '조선 3사 최고경영자(CEO)와 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이와 함께 조선업계는 올해 2340억원을 투자해 암모니아 추진 선박, 탄소 포집장치, 스마트십 데이터플랫폼 등 무탄소․디지털전환 기술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스마트 야드, 친환경 설비 구축 등 조선산업의 미래를 위한 시설 투자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 장관은 조선업계가 세계 경쟁력 1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투자에 나서 줄 것을 당부하면서 조선산업이 겪고 있는 인력·기술·생태계 조성 분야의 애로사항 해소를 위한 지원을 약속했다.
인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 장관은 "생산인력 확충, 설계·엔니지어링 등 전문인력 양성, 외국인력 제도개선 등 인적 경쟁력 제고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친환경·자율운항 선박 시장 선점을 위한 기업의 기술개발 지원과 대형조선소와 중소형 조선소 및 기자재 업체까지 아우르는 야드 내 전 공정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해 업계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또 정부와 업계가 함께 기술 개발에 나서 LNG 운반선·추진선 등 저탄소 선박과 주력 선종의 초격차를 유지하고 수소·암모니아 등 무탄소 선박과 자율운항 선박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밖에 해상풍력 하부 구조물, 이산화탄소 운반선 등 미래 잠재력이 큰 사업영역에 대한 정부 지원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이 같은 기본 방향을 구체화한 '조선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빠른 시일내에 발표할 계획이다.
이 장관은 "조선업은 최근 수주호황과 꾸준한 선가 상승으로 업계의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면서도 "해운경기와 원자재 가격 등에 따라 경기변동성이 큰 산업인 만큼, 호황기를 활용해 지속 가능한 미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부와 업계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