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이 징용 문제 해결을 위해 대화를 나눴다. 한일 외교 수장은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외교장관회의가 열린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4일 오후 외교장관 회담을 진행했다. 회담에서는 일본 기업의 자산화 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만큼 징용 문제 해결 관련 논의가 주를 이뤘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이날 프놈펜 소카호텔에서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일본 외무상과 약 35분간 회담했다. 박 장관은 회담 후 기자들과 만나 "오늘 비록 짧은 시간이었지만 양국 간 과거를 직시하고 미래 지향적으로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방안과 양국의 현안, 상호 관심사에 대해서 진지하게 의견을 교환했다"며 "앞으로 양국 간 협의를 가속화해 나가자는 데 공감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박 장관은 이날 회담에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 문제를 비롯한 양국 현안 해결을 위해 일본 측의 성실한 호응을 재차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일본의 대(對)한국 수출 규제 장기화의 문제점도 지적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일본 측은 박 장관의 의견을 경청하면서도 그간 강제 징용 문제와 관련해 '한국이 먼저 해결책을 가져와야한다'는 통상적인 발언 등은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빡빡한 다자회의 일정 속에서 박 장관과 정식 회담을 다시 진행한 것은 일본 측도 한일 관계 개선 작업에 보다 신중하게 임하고 있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일본 언론 등에 따르면 최근 자민당 외교부회는 한국의 독도방어훈련과 독도 해양조사를 이유로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 응하지 말라고 일본 정부에 요구하기도 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회담이 끝난 후 기자들을 만나 "일본이 이전 회담보다 더 진지해졌다는 말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일관계 개선의 물꼬는 완전히 터진 것 같다"며 "이제부터 제대로된 노력을 해야하는 단계로 봐야할 거 같다"고 전망했다.
양국 외교장관이 이처럼 짧은 기간 집중적인 만남을 이어가는 것은 양국 관계 최대 현안인 강제징용 피해자 문제를 해결 때문으로 보인다. 정부는 강제징용 피해자 문제 해법을 찾기 위해 민관협의회를 가동해 일본 가해 기업인 미쓰비시중공업에 대한 특별현금화(매각) 명령 사건이 계류된 대법원에 의견서를 내는 등 해결책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일본 기업의 국내 자산 현금화는 이르면 올 가을 진행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일본은 자국 기업의 자산 현금화가 실현되면 양국 관계는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을 맞을 수 있다고 주장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