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기업 체감경기가 고환율‧고물가 등으로 인해 급격히 얼어붙고 있다. 업종별로는 석유화학·비금속광물과 자동차부품, 지역별로는 전남·대전·인천·울산·광주 등의 경기가 좋지 않을 전망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전국 2389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22년 3분기 경기전망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지난 2분기(96)보다 17포인트 감소한 79로 집계됐다고 29일 밝혔다.
매출 대비 수출 비중 50%를 기준으로 수출기업과 내수기업으로 구분하면, 수출기업은 95에서 82, 내수기업은 96에서 78로 지난 2분기보다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BSI는 100 이상이면 해당 분기의 경기를 이전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본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100 이하면 그 반대다.
대한상의는 이러한 추세에 대해 공급망 병목현상이 해소되지 않은 점과 1300원에 육박하는 고환율,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인한 국제유가·원자재의 불안정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고물가가 지속되면 국내 소비도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다.
업종별로는 대부분의 업종이 기준치인 100을 넘지 못한 가운데 화장품(100)과 의료정밀(95), 식음료(94)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특히 화장품과 식음료 업종은 코로나19 방역 해제 후 내수 진작 효과의 수혜를 입은 것으로 풀이했다.
조선(94)과 가구(91)도 타 업종보다 선방한 결과다. 조선업계는 최근 수주 호조와 고환율·고선가가 호재로 작용했다. 반면 원료 수입 비중이 높은 자동차부품(69), 석유화학(63), 비금속광물(61) 등은 원자재가격 상승에 최악의 경기 체감을 보였다.
지역별 체감경기는 보합세의 제주(100)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지난 분기 대비 BSI가 하락했다. 제주는 최근 방역 해제와 관광 호조가 지역경제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반면 석유화학과 자동차·부품의 영향이 큰 대구(77)와 울산(71)을 비롯해 경남(79), 충남(76), 경기(75), 광주(72) 등 전국에 걸쳐 체감경기가 크게 떨어졌다. 특히 인천(68)과 대전(66), 전남(63), 세종(60)의 부정평가가 두드러졌다.
한편, 응답 기업 절반 이상은 실적 부진을 체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실적(영업이익)이 올해 초 계획보다 미달할 것으로 예상한 기업이 54.9%로 절반을 넘었으며, 목표치를 초과할 것으로 본 기업은 3.8%에 불과했다. 목표치 달성 및 근접은 41.3%다.
상반기 실적이 미달했다고 응답한 기업들 62.6%는 하반기 가장 우려하는 점으로 ‘물가·환율 변동성 지속’을 꼽았다. 이어 ‘소비 위축(52.3%)’, ‘공급망 병목 지속(30.6%)’, ‘자금 조달여건 악화(20.9%)’ ‘금리 인상에 따른 신흥국 불안(19.8%)’ 순이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실장은 “기업들이 고물가, 고환율 등 고비용 압박을 받고 있어 내수와 수출 모두 침체 기로에 놓인 상황”이라며 “피해가 큰 업종을 대상으로 원자재가 안정, 세제 개선·지원, 수출금융 및 물류비 지원과 같은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스태그플레이션 방어와 민생 안정을 위해 법 개정이 필요한 정책은 초당적 협력이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전국 2389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22년 3분기 경기전망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지난 2분기(96)보다 17포인트 감소한 79로 집계됐다고 29일 밝혔다.
매출 대비 수출 비중 50%를 기준으로 수출기업과 내수기업으로 구분하면, 수출기업은 95에서 82, 내수기업은 96에서 78로 지난 2분기보다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BSI는 100 이상이면 해당 분기의 경기를 이전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본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100 이하면 그 반대다.
대한상의는 이러한 추세에 대해 공급망 병목현상이 해소되지 않은 점과 1300원에 육박하는 고환율,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인한 국제유가·원자재의 불안정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고물가가 지속되면 국내 소비도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다.
지역별 체감경기는 보합세의 제주(100)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지난 분기 대비 BSI가 하락했다. 제주는 최근 방역 해제와 관광 호조가 지역경제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반면 석유화학과 자동차·부품의 영향이 큰 대구(77)와 울산(71)을 비롯해 경남(79), 충남(76), 경기(75), 광주(72) 등 전국에 걸쳐 체감경기가 크게 떨어졌다. 특히 인천(68)과 대전(66), 전남(63), 세종(60)의 부정평가가 두드러졌다.
상반기 실적이 미달했다고 응답한 기업들 62.6%는 하반기 가장 우려하는 점으로 ‘물가·환율 변동성 지속’을 꼽았다. 이어 ‘소비 위축(52.3%)’, ‘공급망 병목 지속(30.6%)’, ‘자금 조달여건 악화(20.9%)’ ‘금리 인상에 따른 신흥국 불안(19.8%)’ 순이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실장은 “기업들이 고물가, 고환율 등 고비용 압박을 받고 있어 내수와 수출 모두 침체 기로에 놓인 상황”이라며 “피해가 큰 업종을 대상으로 원자재가 안정, 세제 개선·지원, 수출금융 및 물류비 지원과 같은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스태그플레이션 방어와 민생 안정을 위해 법 개정이 필요한 정책은 초당적 협력이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