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식물·해양·광물 등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자원인 자연자본에 대해 지금보다 더 많은 관심을 쏟아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8일 ‘자연자본 관련 글로벌 규범·현황 및 대응과제’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의 자연자본 리스크에 대한 대응이 주요국들에 비해 부족하다”며 “자연자본 보전을 위해 우리 정부와 기업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자연자본 보전·개발 활동은 사업 기회와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반면 자연 손실은 질병이나 국가 간 분쟁을 비롯한 사회·경제적 문제를 초래해 경제발전을 저해한다.
이에 따라 국제사회에서도 자연자본에 지속적인 관심을 쏟고 있다. 세계경제포럼(WEF)은 자연 손실을 중장기 위험 요소로 선정했고 글로벌 주요 7개국(G7)은 지난해 공동성명에서 자연 손실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로 합의했다.
대한상의는 한국 정부가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으로서 5년마다 전략을 수립·이행하고 생태계 보전을 위한 선도적 역할을 할 것을 약속하는 등 노력하고 있다는 점은 인정하면서도 실질적인 성과는 미흡한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도시지역이 꾸준하게 확대돼 생물다양성 보호지역 비중이 국제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상의는 국내 기업들이 전략적인 대응을 통해 자연자본 보전·개발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구체적으로 △자연자본 데이터 구축 및 가치평가 시행 △자연자본 중요성에 대한 홍보 강화를 통한 인지도 제고 △자연자본 글로벌 규범 수립 과정에 적극 참여 등의 과제를 제시했다.
특히 주요 글로벌 국가·기업이 자연자본과 관련한 재무정보를 공개하기 위한 태스크포스(TNFD)에 참여해 공시기준 형성에 기여하는 등 선제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
이미 일부 글로벌 투자사들이 자연자본 공시를 요구하기 시작한 만큼 기업들은 자연자본 공시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예나 대한상의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 연구원은 “기후변화와 더불어 자연자본 보전도 글로벌 핵심 규범으로 자리잡고 있다”며 “정부와 기업이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하지 않을 경우 글로벌 교역 환경에서 피해를 볼 수 있는 만큼 정책 추진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8일 ‘자연자본 관련 글로벌 규범·현황 및 대응과제’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의 자연자본 리스크에 대한 대응이 주요국들에 비해 부족하다”며 “자연자본 보전을 위해 우리 정부와 기업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자연자본 보전·개발 활동은 사업 기회와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반면 자연 손실은 질병이나 국가 간 분쟁을 비롯한 사회·경제적 문제를 초래해 경제발전을 저해한다.
이에 따라 국제사회에서도 자연자본에 지속적인 관심을 쏟고 있다. 세계경제포럼(WEF)은 자연 손실을 중장기 위험 요소로 선정했고 글로벌 주요 7개국(G7)은 지난해 공동성명에서 자연 손실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로 합의했다.
특히 도시지역이 꾸준하게 확대돼 생물다양성 보호지역 비중이 국제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상의는 국내 기업들이 전략적인 대응을 통해 자연자본 보전·개발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구체적으로 △자연자본 데이터 구축 및 가치평가 시행 △자연자본 중요성에 대한 홍보 강화를 통한 인지도 제고 △자연자본 글로벌 규범 수립 과정에 적극 참여 등의 과제를 제시했다.
특히 주요 글로벌 국가·기업이 자연자본과 관련한 재무정보를 공개하기 위한 태스크포스(TNFD)에 참여해 공시기준 형성에 기여하는 등 선제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
이미 일부 글로벌 투자사들이 자연자본 공시를 요구하기 시작한 만큼 기업들은 자연자본 공시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예나 대한상의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 연구원은 “기후변화와 더불어 자연자본 보전도 글로벌 핵심 규범으로 자리잡고 있다”며 “정부와 기업이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하지 않을 경우 글로벌 교역 환경에서 피해를 볼 수 있는 만큼 정책 추진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