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E&S, 中 베이징가스그룹과 LNG·수소 사업 맞손

2022-05-26 10:05
  • 글자크기 설정
SK E&S가 중국 베이징가스그룹과 손잡고 액화천연가스(LNG) 및 수소 사업 협력에 나선다.

SK E&S는 베이징가스그룹과 'LNG 및 수소 사업 분야 전략적 협력 계약'(SCA·Strategic Collaboration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전날 대구의 '2022 세계가스총회'(WGC 2022) 현장에서 진행된 체결식에는 유정준 SK E&S 부회장과 리 야란 베이징가스그룹 이사장이 참석했다.

베이징시 산하 베이징가스그룹은 중국 화베이 지역의 최대 천연가스 사업자로, 베이징시와 인근 지역에서 약 2만9900㎞의 천연가스 배관망을 운영하며 약 713만 가구에 천연가스를 공급하고 있다.

두 회사는 이번 SCA 체결을 통해 중국 내 LNG 및 수소 사업 분야에서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양사가 중국 내에 보유한 LNG 터미널 등 주요 자산에 대한 운영 노하우 등을 공유하고, LNG 수입 및 천연가스 판매와 관련해 추가 협력하기로 했다.

수소 생산 분야에서는 베이징가스그룹이 건설 중인 톈진LNG터미널 등을 활용해 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을 바탕으로 블루수소를 생산하고 신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와 연계해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방안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

또한 베이징가스그룹이 소유한 천연가스 배관에 수소를 혼입하고,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를 건설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하기로 했다.

이번 SCA 체결은 중국 현지 사업 핵심 파트너인 베이징가스그룹과의 협력 강화를 통해 향후 폭발적 성장이 예상되는 중국 천연가스 및 수소 시장에서의 영향력 확대를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SK E&S 측은 설명했다.

아울러 유 부회장은 리 이사장과 함께 이날 오전 '넷제로 목표를 향한 아시아의 가스 산업'을 주제로 열린 WGC 기조발표 세션에도 참여했다. 그는 에너지전환 시대에 천연가스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유 부회장은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의 석탄발전 비중은 60~70%에 달하는데 이를 전환하는 과정에서 가스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또한 모든 국가가 미래 에너지원으로 보고 있는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가스가 될 것"이라며 "천연가스는 어떠한 에너지믹스를 지향하더라도 반드시 거쳐 가야 할 '관문'(Gateway)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SK E&S]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