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5/24/20220524150559462013.jpg)
[사진=연합뉴스]
국토교통부가 대중교통을 주로 이용하는 청년·서민층 등의 교통비 절감에 본격 나선다.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는 서울·인천·경기 등 지자체 및 철도 운송기관 등과 지난 24일 서울역에서 관계기관 회의를 열고, 지하철·버스 통합정기권 도입을 위한 논의를 진행했다고 25일 밝혔다.
이에 정부는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지하철 정기권의 버스 환승할인 적용'을 국정과제 중 하나로 선정하고, 이를 실천하는 방안으로 지하철·버스 통합정기권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대광위는 2023년 지하철과 버스 등을 통합해 이용할 수 있는 통합정기권 도입을 목표로 전국 대도시권 지자체 및 운송기관과 협의 중이다.
통합정기권이 도입되면 기존 지하철 역세권 주민 외에 지하철과 버스를 환승하는 이용객에게도 할인혜택이 제공돼 국민들의 대중교통비가 약 27~38% 절감될 것으로 기대된다.
가령 수도권 10km 구간(1250원)을 60회 통행한다고 가정하면 현행 지하철 정기권으로는 7만5000원을 지불해야 하지만 통합정기권이 도입되면 교통비는 5만5000원으로 26.7%가 줄어든다. 수도권 30km 구간(1650원)의 경우에는 교통비가 기존 9만9000원에서 통합정기권 이용시 6만1700원 수준으로 37.7% 줄어든다.
박정호 광역교통경제과장은 "지하철·버스 통합정기권은 정부가 대중교통 정기권 서비스를 지원하는 첫 사례로 대중교통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서민층·청년층의 대중교통비를 절감하는 동시에 다양한 이용자의 수요를 충족시킬 것"이라며 "앞으로도 대중교통비 절감 방안을 다각적으로 강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