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전력반도체 산업생태계 거점 도시로 도약

2022-05-02 16:57
  • 글자크기 설정

'차량용 전력반도체 제조 공정 기반 구축' 공모 최종 선정, 국비 92억5000만원 확보

차세대 차량용 전력반도체 제조 공정 구축 사업 [사진=포항시]

경북 포항시는 2일 산업통상자원부가 선정하는 ‘와이드밴드갭 소재기반 차량용 전력반도체 제조 공정 기반 구축 공모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정부는 전 세계적 차량용 반도체 수급 불안 등의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3월 11일 자동차용 반도체 단기 수급 대응 및 산업 역량 강화 전략, 3월 25일 차세대 전력반도체 기술 개발 및 생산 역량 확충 방안을 발표했으며, 이어 5월 13일 K-반도체 전략까지 수립했다.
 
이에 포항시는 전력반도체 산업 육성 기반 구축 및 지원 경험을 바탕으로 선제적으로 정부에 와이드밴드갭 소재 기반 차세대 차량용 전력반도체 상용화를 지원하기 위한 사업을 제안해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
 
이번 공모 사업은 137억5000만원(국비 92억5000만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차세대 차량용 전력반도체 허브를 구축한다.
 
와이드밴드갭(WBG) 반도체란 실리콘보다 큰 밴드갭(전자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을 갖는 반도체 소재인 탄화규소(SiC), 질화갈륨(GaN), 산화갈륨(Ga2O3)으로 생산한 차세대 반도체로서, 기존 실리콘 소재 기반 반도체 대비 초고속·고효율·고온이며 극한 환경에서 뛰어나다는 특성을 가진다.
 
시는 지난 2009년부터 포스텍 나노융합기술원과 함께 전기자동차, 자율주행자동차 등 미래 혁신 제품의 핵심 부품인 전력반도체 분야를 새로운 성장동력 산업으로 육성해 왔다.
 
나노융합기술원은 반도체 분야에 특화해 핵심 시설과 장비, 전담 인력을 갖추고 기술 개발, 공정서비스, 전문 인력 양성을 지원하면서 역량을 축적해왔고, 지난 2019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첨단반도체분야 국가연구시설(N-Facility)로 지정돼 전력반도체 테스트베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시는 차세대 전력반도체를 지역 주력 산업으로 육성하고자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 간 총 137억5000만 원을 투자해 8인치 와이드밴드갭 소재기반 전력반도체 전주기 공정 지원을 위한 핵심 공정 장비 도입으로서 일괄공정장비 운영 공정 라인 구축, 표준 공정 기술 개발, 테스트베드 구축, 기업 수요 맞춤형 시제품 제작 및 애로 기술 지원 시스템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장식 포항시장 권한 대행은 “앞으로 탄화규소(SiC), 질화갈륨(GaN) 등 차세대 신소재에 기반한 차량용 전력반도체 분야 전주기 지원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라며, “포항을 거점으로 구미, 대구, 부산 등과 초광역권 협력을 통해 ‘와이드밴드갭 소재 기반 반도체 산업’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