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휴가·회식비 무제한… 직원복지 키우니 매출 3배 늘어요"

2022-05-02 05:00
  • 글자크기 설정

채널코퍼레이션 피플팀 임은지 리드매니저 인터뷰

'채널톡' 출시한 B2B SaaS 스타트업… 처우 좋은 회사로 입소문

직원 절반 개발자… '고객이 답이다' 社內도 적용, 근무일지 없애

임은지 채널코퍼레이션 리드매니저 [사진=채널코퍼레이션]

재택근무와 휴가, 회식비, 도서구매비까지. 이 모든 게 무제한인 회사가 있다. ‘채널코퍼레이션’에선 누구나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곳에서 근무할 수 있다. 휴가와 회식비는 원하는 만큼 쓸 수 있고 법인카드도 직원 누구나 사용 가능하다.
 
이런 조직 문화와 복지 제도를 만들어가는 건 채널코퍼레이션 피플팀이다. 지난달 22일 서울 강남구 사무실에서 만난 임은지 피플팀 리드매니저는 “룰이 없는 게 룰”이라며 “책임을 기반으로 한 자율적인 업무 방식을 추구한다”고 회사를 소개했다.
 
채널코퍼레이션은 B2B SaaS(기업용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이다. 2017년 출시한 올인원 비즈 메신저 ‘채널톡’은 전 세계 22개국, 8만여개 기업이 사용 중이다. 기업들은 고객상담센터를 따로 두지 않고 홈페이지에 채널톡을 도입해 온라인 고객 상담용으로 활용한다.
 
수요 기업뿐 아니라 스타트업계에서도 채널코퍼레이션은 최근 유명세를 떨치고 있다. 기업정보 플랫폼 잡플래닛에 따르면 ‘당근마켓’ 직원들이 검색한 회사 순위에서 채널코퍼레이션은 7위를 기록했다. 스타트업 종사자들 사이에서 처우가 좋은 회사로 관심을 끌고 있다는 의미다.
 
반면 채널코퍼레이션 직원들이 가장 많이 검색한 회사는 채널코퍼레이션으로 조사됐다. 직원들의 애사심이 느껴지는 대목이다. 임 매니저는 “일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는 점에서 직원들의 만족도가 높다”고 평가했다. 채널코퍼레이션은 자유로운 출퇴근을 보장하고 재택근무 시에는 100만원의 지원금을 준다. 회사에선 뷔페식 또는 도시락으로 점심, 저녁을 제공하고 1000만원에 달하는 고사양 장비도 지원한다.
 

채널코퍼레이션은 유연근무제 및 자율좌석제를 운영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 강남구 채널코퍼레이션 사무실 전경. [사진=채널코퍼레이션]

직원들의 애사심이 커진 배경엔 피플팀의 노력도 숨어있다. 임 매니저를 포함해 총 7명의 피플팀원들은 시시때때로 서베이(조사)와 원온원(1대1) 미팅을 진행하며 직원들의 업무 만족도를 살핀다. ‘고객이 답이다’라는 회사 신조를 사내에도 적용해 피플팀의 고객인 직원들에게서 답을 찾는 것이다.
 
사내문화 및 복지도 이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대표적인 것이 유연근무제다. 임 매니저는 “직원의 50%가 개발자인데 업무 특성상 새벽이나 주말에 일하는 경우가 생긴다”며 “유동적인 업무 특성을 반영해 원하는 시간에 자유롭게 일할 수 있도록 ‘인터스텔라’ 제도를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제도를 남용하는 사례는 없을까. 임 매니저는 “근태관리는 따로 하지 않는다”면서 “직원들에 대한 믿음이 있기 때문에 자유를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 바탕엔 구성원 간의 투명한 소통에서 비롯된 신뢰가 자리한다. 
 
그는 “한 달에 한 번씩 전 직원이 참여하는 타운홀 미팅을 통해 전월 실적을 점검하고 문제점과 개선점을 논의한다. 대표도 직접 자기 평가를 하며 부족한 부분을 거리낌 없이 언급한다”며 “자신의 취약성을 드러내는 오픈 커뮤니케이션 문화가 신뢰를 만든다. 구성원들은 신뢰에 보답하려는 마음으로 책임감을 갖고 일한다”고 자신했다.
 
임 매니저가 피플팀 총괄 업무를 맡게 된 지는 1년 남짓. 그 사이 직원 수는 40여명에서 현재 140여명으로 100명가량 늘었다. 올해는 220명까지 규모를 늘리는 게 목표다. 그만큼 회사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채널코퍼레이션은 전년 대비 매출액이 2018년 5배, 2019년 3.1배, 2020년 3.3배 늘며 가파른 성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임 매니저는 현 시점에서 피플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직원들이 일하는 환경이 회사의 성장과 직결되며, 환경을 조성하는 게 피플팀의 일”이라며 “회사가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기업이 되기 전에 유니콘다운 피플팀이 돼야 한다. 데카콘(기업가치 10조원 이상) 기업을 준비하는 피플팀이 되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