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산업 생태계 강화를 위해 인재 양성, 원천기술 개발 등 분야에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는 26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산‧학‧연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발전전략 협의체’를 개최하고 디스플레이 산업의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업계는 산업경쟁력 확대를 위해 국가첨단전략산업 특별법에 디스플레이가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학계에서도 핵심 인력 양성에 대한 지원 확대, 포스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기술개발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연구계는 디스플레이가 반도체 등 다양한 분야와 기술융합이 확대되고 있으므로 미래형 디스플레이를 준비하기 위해 원천기술 개발에 대한 장기적인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번 협의체는 디스플레이 산업 발전을 위해 산‧학‧연이 공동으로 논의하는 추진 체계를 구축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협의체는 정부와 긴밀한 소통을 통해 논의된 내용이 정책과제로 연결되도록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이동욱 디스플레이산업협회 부회장은 “경쟁국의 추격이 거센 상황에서 국내 기업은 앞선 기술에 대한 사업화를 통해 경쟁국과의 격차를 확대할 수 있다”며 “민간의 투자 활성화를 위한 세제지원 확대, 연구·개발을 위한 고급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는 26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산‧학‧연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발전전략 협의체’를 개최하고 디스플레이 산업의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업계는 산업경쟁력 확대를 위해 국가첨단전략산업 특별법에 디스플레이가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학계에서도 핵심 인력 양성에 대한 지원 확대, 포스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기술개발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연구계는 디스플레이가 반도체 등 다양한 분야와 기술융합이 확대되고 있으므로 미래형 디스플레이를 준비하기 위해 원천기술 개발에 대한 장기적인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번 협의체는 디스플레이 산업 발전을 위해 산‧학‧연이 공동으로 논의하는 추진 체계를 구축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협의체는 정부와 긴밀한 소통을 통해 논의된 내용이 정책과제로 연결되도록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이동욱 디스플레이산업협회 부회장은 “경쟁국의 추격이 거센 상황에서 국내 기업은 앞선 기술에 대한 사업화를 통해 경쟁국과의 격차를 확대할 수 있다”며 “민간의 투자 활성화를 위한 세제지원 확대, 연구·개발을 위한 고급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4/26/20220426163137338775.jpg)
26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디스플레이 발전전략 협의체’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