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인사이트 집리크루터(ZipRecruiter)가 WSJ에 제공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2월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최근 6개월 내 새 직장을 구한 미국인 2064명 가운데 64%가 “현재 직장이 이전 직장보다 더 많은 급여를 제공한다”고 답했다.
이들 가운데 거의 절반이 이전 직장보다 임금이 11% 넘게 올랐고, 약 9%는 50% 이상 임금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직장인 상당수는 1~2년 내 이직을 할 계획이라고도 했다. 24~54세 연령대의 직장인들 가운데 20%가 1년 내 현재 다니고 있는 직장을 그만둘 것이라고 예상한 반면, 26%는 1~2년 동안만 현재 직장에 머물 것으로 봤다. 미국 노동자들의 평균 근속 기간이 4년 정도인 점에 비해 이번 설문조사 결과는 매우 이례적이라고 집리크루터가 평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4/25/20220425144615252968.jpg)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지난 3월 2일(현지시간) 하원 금융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증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임금 추적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으로 일반 근로자의 연평균 임금 상승률은 6%에 달했다. 이는 2020년 2월에 기록한 3.7%를 웃도는 수준이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1년 전보다 8.5% 상승했는데 이는 1981년 이후 가장 높은 연간 인플레이션율이다. 공급망 혼란이나 에너지 공급난 등의 문제가 완화되더라도 경제 전반으로 임금 상승세가 확산되면 인플레이션은 높게 유지될 수 있다.
다이앤 스웡크 그랜트손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임금 상승은 (경제에) 좋지만, 인플레이션을 끌어올린다면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지난 4월 실시한 WSJ의 설문조사에 응답한 경제학자 가운데 27% 가까이가 임금 인상이 올해 인플레이션에 가장 큰 위협이 될 수 있다고 답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공급망 혼란을 주요 인플레이션 위협으로 꼽은 이들보다 많았다. 기업들은 노동자들을 유치하고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돈을 지불하고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가격 인상을 전가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 같은 노동 시장의 움직임은 인플레이션을 잡으려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WSJ는 전했다. 하버드대학의 연구원인 알렉스 도마쉬는 "임금 상승은 연준의 인플레이션 목표와 양립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