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전남 축구장 76개 면적 노지에 'AI 농사' 짓는다

2022-04-19 13:40
  • 글자크기 설정

나주 16만평 논·밭에 지능화 스마트폼 플랫폼 구축

무인 농기계, 용수 자동화 관리해 농업생산 무인화

LG CNS 직원들이 스마트팜 지능화 플랫폼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LG CNS]


LG CNS가 전라남도의 축구장 76개 면적에 해당하는 노지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융합한 지능형 스마트팜을 조성한다. 유리온실·비닐하우스 시설 재배 중심으로 보급됐던 스마트팜 인프라를 국내 농경지 95%에 달하는 노지에 확산하는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LG CNS는 농림축산식품부·전라남도가 추진하는 '첨단 무인 자동화 농업생산 시범단지 지능화 플랫폼 구축'을 시작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2023년까지 전남 나주 54.3㏊(54만3000㎡, 약 16만평) 규모의 논·밭을 노지형 스마트팜으로 만드는 사업이다.
LG CNS는 작물 생육 상태, 토양, 기상, 온습도, 병충해 유행시기 등 농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모아 AI로 분석해 최적 농사 가이드를 제공하는 '스마트팜 지능화 플랫폼'을 개발한다. 예를 들어 감자 농사 시 토양 데이터와 감자 생육 데이터를 분석해 적정 비료 공급량과 시기를 알리고 토양 습기 정도와 기상 일정에 따라 최적 물 공급 일정을 안내한다.

노지형 스마트팜에는 규모에 따라 수천 내지 수만대의 사물인터넷(IoT) 센서와 장비가 설치된다. 이 시설은 파종부터 수확까지 모든 농작물 생육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환경 데이터도 수집한다. AI 이미지 센서로 물체 움직임을 레이더로 포착, 유해조수 유무를 판별하고 동물이 기피하는 레이저나 주파수 대역의 음파를 내보내 농작물을 보호하는 '디지털 허수아비'도 설치된다.

무인 트랙터·이앙기 등 농기계를 관리하는 서비스와 수원지부터 관수·배수 단계를 거치는 농업용수를 관리하는 스마트 물 관리 솔루션도 적용된다. LG CNS는 이 사업을 통해 수집하는 적산온도(작물 생육에 필요한 열 축적량) 산정, 적정 수분함량, 기상 예측 데이터 등 생육에 관련된 농업 데이터 수집 항목, 단위, 방법을 표준화해 디지털 정밀 농업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LG CNS는 자체 스마트시티 플랫폼 '시티허브'를 활용해 스마트팜 지능화 플랫폼을 구축한다. IoT 플랫폼 '인피오티'를 데이터 수집에 활용하고 AI 빅데이터 플랫폼 '디에이피 엠엘디엘(DAP MLDL)'을 데이터 분석과 예측에 활용한다. 향후 세종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에 아파트형 스마트팜, 옥상 스마트팜, 첨단 유리온실 등을 구축하면서 관련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유인상 LG CNS 스마트SOC담당 상무는 "한국형 스마트팜이 글로벌 선도 모델이 될 수 있도록, LG CNS의 디지털 전환 전문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