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4/13/20220413171056540058.jpg)
케이메디허브가 난소암 줄기세포 치료제를 개발해 4월 12일 기술이전 계약을 진행했다. [사진=케이메디허브]
이는 기존 난소암 치료제는 암세포만 사멸하고 줄기세포를 없애지 못해, 살아있던 줄기세포가 다시 종양을 만들어내면서 85%가 재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케이메디허브가 개발한 치료제는 난소암 줄기세포를 대상으로 하여 기존 치료제의 문제점인 내성과 재발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번 기술이전의 계약 규모는 20억원 정도로 알려졌다.
이번 개발은 케이메디허브 신약개발지원센터 민상현 책임, 김준우 선임, 이희진 연구원, 권오빈 책임연구원이 주도했으며, 연구진들은 칼슘과 포타슘 채널을 동반 억제하는 암줄기성 저해 기전으로 재발성 난소암 치료제를 재창출해 온코앤사이언스로 지난 4월 1일 기술이전하고, 이달 12일 계약체결식을 열었다.
이에 난소암의 재발을 막을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 개발이 시급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줄기세포 자체를 치료하면서 기존 항암치료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번 치료제는 기존에 위장관 운동 조절제로 사용되던 약물이 난소암 줄기세포에도 효과가 있는 것을 알아낸 신약 재창출 성과이다.
연구팀은 트리메부틴이 난소암 줄기세포에 과발현된 칼슘과 포타슘 채널을 동시에 억제해 난소암 줄기세포의 성장 및 증식을 특이적으로 저해하는 효과를 확인했으며, 또한 FDA 승인 화합물인 트리메부틴은 이미 안전성이 보장된 물질이므로 빠른 임상시험 진입을 통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기존 항암제와 병용 처리해 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양진영 케이메디허브 이사장은 “재발이 많아 치료가 힘들던 난소암을 근본적으로 줄기세포까지 치료하는 물질을 찾아냈으며, 특히 안전성이 보장된 약물이라 빠른 임상 진입으로 신약까지 연결하겠다”라고 밝혔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4/13/20220413171216427083.jpg)
케이메디허브는 네이버 클라우드와 공동 주최로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의료 플랫폼 구축을 위한 발표회를 한다. [사진=케이메디허브]
이번 행사는 지역 의료기관 빅데이터 활용 현황을 소개하고 선진 클라우드 기술과 비전을 참석자들과 공유하며 디지털헬스케어 분야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마련했으며, 케이메디허브는 의료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관련 중소기업의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케이메디허브와 네이버 클라우드가 공동으로 주최하며, 대구광역시와 메디시티대구협의회가 후원을 하며, 디지털 헬스케어 라운드 테이블에서는 네이버 클라우드 류재준 이사의 클라우드 기반의 헬스케어 산업을 주제로 기조 발표를 한다.
이후 계명대학교 동산병원의 이시욱 교수와 경북대학교 김원화 교수는 병원 의료 빅데이터 구축 사례 및 현황에 대해 발표하며, 마지막으로 케이메디허브에서는 의료 빅데이터 중개 플랫폼 구축에 대해 발표하고, 네이버 클라우드에서는 안심존 데이터 박스와 데이터 협업 도구에 관해 최신 동향을 발표한다.
양진영 케이메디허브 이사장은 “클라우드 산업도 의료산업과 함께 성장할 중요한 비즈니스 동반자”라며, “의료데이터 산업 활성화를 시작으로 급변하는 의료환경에서 우리 케이메디허브 중심으로 대구‧경북 의료기관과 기업들이 협업하여 의료산업 발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 환경을 구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