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4/13/20220413170450213430.jpg)
윤석열 정부 초대 해양수산부 장관으로 지명된 조승환 후보자 [사진=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윤석열 정부 초대 해양수산부 장관으로 해수부 관료 출신인 조승환 전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장(56)이 지명됐다.
조 전 원장은 물류·안전·개발 등 해양수산 전 분야에 걸쳐 넓고 해박한 지식과 실무 경험을 겸비한 해양수산 전문가다. 온화한 성품에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꼼꼼하고 치밀한 일 처리로도 정평이 났다.
행정고시 34회로 공직에 입문해 통일원(현 통일부)과 국무총리실을 거쳐 해수부 연안계획과장, 물류제도팀장, 인천항건설사무소장, 해사안전국장, 부산지방해양수산청장, 해양정책실장 등을 역임했다. 이명박 정부에서는 대통령실 선임행정관을 지냈다.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장직을 맡아 지속가능한 해양수산산업 생태계 구축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해양수산 분야의 다양한 연구·개발(R&D)사업을 지원·관리하고, 신기술 사업화도 추진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13일 서울시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기자회견장에서 "조 후보자는 해양수산 관련 주요 보직을 두루 역임한 최고 전문가"라며 "우리의 풍부한 해양 자원을 바탕으로 해양수산업 육성과 글로벌 물류 중심 신해양강국의 밑그림을 그려낼 적임자"라고 강조했다.
조 후보자는 취임과 함께 공정거래위원회가 불법으로 판단한 해운 담합 사안부터 살펴볼 것으로 보인다. 공정위는 지난 1월 해운사 간 한국~동남아 운임 담합에 과징금을 물린 데 이어 한국~중국·일본 간 노선에도 담합이 있었는지를 조사 중이다.
조 후보자는 이날 장관 후보 지명 이후에 열린 기자회견에서 "해운산업은 글로벌 산업이고, 국제 경쟁을 해야 하는 업종"이라고 강조한 뒤 "해운에는 오랫동안 전통적으로 이뤄져 오던 국제적 관행이 있다"면서 해운 담합에 공정거래법을 적용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어 "이런 차원에서 소위 해운업체들의 담합이라고 하는 부분은 적절한 해결책을 마련해 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4/13/20220413170305829497.jpg)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브리핑룸에서 2차 내각 발표를 하고 있다. 윤 당선인은 이날 해양수산부를 비롯한 8개 부처 장관 후보자를 발표했다. [사진=인수위사진기자단]
국내 대표 선사인 HMM 새 주인 찾기도 새 장관에게 남겨진 숙제다. HMM은 해수부 산하 한국해양진흥공사가 2대 주주다. 관리도 해진공이 전담하고 있다. 정부가 2016년부터 공적자금을 투입해 구조조정에 나선 HMM은 지난해 매출 13조7941억원, 영업이익 7조3775억원의 역대 최고 성적을 냈다.
구조조정이 성공적으로 끝남에 따라 HMM 민영화 논의도 무르익고 있다. 윤 당선인이 해운·조선산업 성장을 강조하면서 기대감도 한층 높아진 상태다.
포괄적·점진적 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에 따른 수산업 피해 지원책도 마련해야 한다. CPTPP는 가입국 간 관세 철폐율이 평균 96.3%에 달해 가장 광범위하고 시장 개방도가 높은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불린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내놓은 'CPTPP 가입 시 경제전망' 자료를 보면 CPTPP 가입 이후 수산업 생산은 15년간 연평균 69억~724억원 줄어들 것으로 추산된다. 정부는 이달 가입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이밖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와 중국 주요 동시 봉쇄에 따른 물류망 차질 우려도 대응해야 한다.
△1966년 부산 △부산 대동고 △고려대 법학과 △미국 워싱턴대 법학전문대학원 법학석사 과정 수료 △제34회 행정고시 합격 △통일원 통일정책실 △국무총리 정무비서관실·의전비서관실 △해양수산부 연안계획과장 △부산지방해양수산청 항만물류과장 △해수부 물류제도팀장 △제17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경제2분과위원회 실무위원 △인천지방해양항만청 인천항건설사무소장 △주영국 공사참사관 △해수부 해사안전국장 △부산지방해양수산청장 △해수부 해양정책실장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장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비상임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