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이 많이 찾는 김밥·짜장면·햄버거 등 39개 외식조사 품목 물가가 모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재료비와 배달료가 뛰고 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며 외식 수요가 회복하고 있기 때문이다.
10일 국가통계포털(KOSIS) 자료를 보면 3월 외식 물가는 1년 전보다 6.6% 뛰었다. 상승 폭만 보면 1998년 4월 이후 23년 11개월 만에 가장 컸다.
짜장면(9.1%)과 김밥(8.7%), 짬뽕(8.3%), 치킨(8.3%) 라면(8.2%), 설렁탕(8.1%), 떡볶이(8.0%) 등도 가격 인상 폭이 작지 않았다. 칼국수(6.9%)와 돈가스(6.6%) 등도 마찬가지다.
고기류도 가격 인상을 피하지 못했다. 소고기(8.1%)는 물론 돼지갈비(7.8%), 삼겹살(6.6%), 불고기(6.1%), 스테이크(5.5%) 등이 큰 폭으로 올랐다.
가격 상승률이 4%를 밑도는 외식 품목은 삼계탕(3.9%)과 구내식당 식사비(3.3%), 맥주(3.2%), 해물찜·소주(각 2.8%), 기타 음료(2.4%) 등 6개뿐이었다.
외식 품목 가격이 일제히 오른 건 식자재 가격과 배달료가 동시에 뛰며 원가가 상승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코로나19 사태가 이어지고 있지만 거리두기 완화 등으로 외식 수요가 늘어난 것도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통계청은 외식 물가를 조사할 때 배달 비중이 높은 매장은 음식 가격에 배달료를 포함한다.
최근 밀가루·닭고기 등 수입 식자재 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어 외식 물가 상승률을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외식 물가 상승 폭은 지역별로 다소 차이를 보였다. 지난달 인천 지역 외식 물가 상승률은 7.4%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경남(7.1%)과 강원(7.0%), 대전·경기·경북(각 6.9%), 대구(6.8%)도 전국 평균인 6.6%를 웃돌았다. 제주(6.3%)와 서울(6.2%)은 평균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반면 충남(5.5%)과 광주(5.6%), 세종(5.8%)은 다른 지역보다 외식 물가 상승률이 낮게 나타났다.
물가 상승률은 해당 지역 물가 변동을 보여주는 지표다. 다만 물가 상승률이 높다는 것이 다른 지역보다 외식 가격이 비싸다는 의미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