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4/06/20220406134044355494.jpg)
강원도청 전경 [사진=강원도]
도에 따르면 도암댐은 1991년 방류를 시작해 2001년 남대천 수질악화에 따른 발전 중지 후 해결을 위해 많은 논의와 수질검증 등의 과정이 있었으나 각 기관 및 이해관계자가 서로 신뢰하고 인정할 수 있는 확실한 결론을 내리지 못한 상태였다.
하지만 최근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루미나이트 투입을 통한 수질개선 실증사업과 강릉시와 함께 수력발전 재가동을 위한 움직임에 정선군 및 강릉시 시민ㆍ사회단체에서 반발하면서 지역사회에 뜨거운 이슈로 부각됐다.
도는 이에 따라 도암댐 수질 및 갈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관계 기관 실무자 회의를 개최해 각 △기관별 입장 정리, △문제 해결에 필요한 과제 도출, △갈등조정 협의체 구성을 위한 참여 대상 범위(전문가, 지역주민, 민간단체 등), △위촉 방법 및 역할 등에 대해 논의했다.
도는 실무자 회의를 통한 기본적인 의제 정리와 방향이 정해지면 주요 쟁점에 대한 합의 기구 역할의 '도암댐 갈등조정 협의체'를 구성해 수질개선 사업, 지역 상생 발전 사업, 갈등 사안 등에 대하여 논의ㆍ조정할 계획이다.
강원도 관계자는 “도암댐 문제가 오랜 시간 동안 해결되지 않은 문제인 만큼 빠른 시일 안에 쉽게 결론이 나지 않을 수 있겠지만 지역상생을 기반으로 관계 기관과 긴밀하게 협력해 전방위적으로 속도감 있게 진행, 지역 갈등 해결을 위해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