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4/06/20220406112124818301.jpg)
GS더프레시 모델이 코끼리망고와 킹스베리를 소개하고 있다.[사진 = GS더프레시]
6일 GS더프레시에 따르면 킹스베리·샤인머스캣 등 이색과일 매출 구성비는 2019년 48.7%에서 2021년 60.4%로 높아져 전통 과일을 앞섰다.
특히 샤인머스캣 매출은 전체 포도 중 71%를 차지하며 대세로 자리 잡았고, 일반 딸기보다 3배 이상 크기가 큰 킹스베리는 올해 전체 딸기 매출 중 37%를 차지하고 있다.
GS더프레시는 1인 가구가 점차 증가하고 코로나19로 인한 야외활동 제약이 특별한 고객 경험을 추구하는 소비로 해소하고자 하는 트렌드가 강세를 보이면서, 이른바 ‘미코노미(Me+Economy·나를 위한 소비)’가 확산된 결과로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