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OTT 제작지원 94편 선정..."K-콘텐츠 경쟁력 강화 목표"

2022-04-04 14:39
  • 글자크기 설정

국내 OTT-제작사 컨소시엄으로 동반 성장 목표...AI 활용한 촬영 혁신도 추진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올해 94편의 국내 방송·OTT(인터넷동영상서비스) 콘텐츠에 대한 지원에 나선다. 넷플릭스 등 글로벌 OTT 사업자의 콘텐츠 공세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미디어 진흥 정책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한국전파진흥협회는 4일 '2022년 방송·인터넷동영상서비스 콘텐츠 제작 지원 대상 94편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OTT의 시장 영향력 확대와 미디어 신기술 확산 등 미디어 생태계 변화에 대응하고 국내 방송·OTT 콘텐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총 191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고품질 콘텐츠 제작과 유통을 지원한다.

지원 대상은 △OTT 특화형 △신기술 융합 △다큐멘터리 국제공동제작 △협력협정 △공익형 △신한류 프리미엄 △초고화질 등 7가지 부문으로 나누어 선정했다.

OTT 기획개발 부문은 제작사-OTT 컨소시엄 기획안 9편을 포함해 총 20편을 선정했다. 웨이브, 티빙, 왓챠, 시즌, 딜라이브 등 국내 OTT 5개사가 컨소시엄에 선정되어 제작 지원에 참여한다. 

인공지능(AI)과 가상현실(VR) 등 신기술을 적용한 콘텐츠인 신기술 융합 부문에선 5편, 제작환경 개선 실증에선 2편이 선정됐다. 제작환경 개선은 촬영부터 편집·유통 단계에 AI 기술을 적용해 관련 시간과 비용을 절감한 사례를 말한다.

다큐멘터리 국제공동제작 부문에는 13편, 방송통신협력협정이행 부문에는 2편, 공익형 부문에는 36편이 선정됐다. 

정부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국내 다큐멘터리를 집중 육성하기 위해 올해부터 국내 다큐멘터리 제작 지원을 위한 민관협력 공동 플랫폼 구축에도 나선다.

공익형 부문에선 역사, 환경, 교육, 세대간 소통, 한류 확산 등의 내용을 담은 우수프로그램 33편과 우리말 더빙 3편이 선정됐다.
 
국내 우수 콘텐츠의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신한류 프리미엄에선 1편, 초고화질 부문에선 6편을 선정했다.

오용수 과기정통부 방송진흥정책관은 "올해 △국내 OTT와 제작사의 동반성장 △경쟁력 있는 다큐멘터리 제작 △정보통신 신기술과 융합한 제작 과정 개선 등의 정책을 통해 미디어 플랫폼과 콘텐츠 산업의 동반성장 구조를 만들고, IT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 제작·유통 방식의 혁신을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