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4/04/20220404143400860951.jpg)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한국전파진흥협회는 4일 '2022년 방송·인터넷동영상서비스 콘텐츠 제작 지원 대상 94편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OTT의 시장 영향력 확대와 미디어 신기술 확산 등 미디어 생태계 변화에 대응하고 국내 방송·OTT 콘텐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총 191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고품질 콘텐츠 제작과 유통을 지원한다.
지원 대상은 △OTT 특화형 △신기술 융합 △다큐멘터리 국제공동제작 △협력협정 △공익형 △신한류 프리미엄 △초고화질 등 7가지 부문으로 나누어 선정했다.
OTT 기획개발 부문은 제작사-OTT 컨소시엄 기획안 9편을 포함해 총 20편을 선정했다. 웨이브, 티빙, 왓챠, 시즌, 딜라이브 등 국내 OTT 5개사가 컨소시엄에 선정되어 제작 지원에 참여한다.
인공지능(AI)과 가상현실(VR) 등 신기술을 적용한 콘텐츠인 신기술 융합 부문에선 5편, 제작환경 개선 실증에선 2편이 선정됐다. 제작환경 개선은 촬영부터 편집·유통 단계에 AI 기술을 적용해 관련 시간과 비용을 절감한 사례를 말한다.
다큐멘터리 국제공동제작 부문에는 13편, 방송통신협력협정이행 부문에는 2편, 공익형 부문에는 36편이 선정됐다.
정부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국내 다큐멘터리를 집중 육성하기 위해 올해부터 국내 다큐멘터리 제작 지원을 위한 민관협력 공동 플랫폼 구축에도 나선다.
공익형 부문에선 역사, 환경, 교육, 세대간 소통, 한류 확산 등의 내용을 담은 우수프로그램 33편과 우리말 더빙 3편이 선정됐다.
국내 우수 콘텐츠의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신한류 프리미엄에선 1편, 초고화질 부문에선 6편을 선정했다.
오용수 과기정통부 방송진흥정책관은 "올해 △국내 OTT와 제작사의 동반성장 △경쟁력 있는 다큐멘터리 제작 △정보통신 신기술과 융합한 제작 과정 개선 등의 정책을 통해 미디어 플랫폼과 콘텐츠 산업의 동반성장 구조를 만들고, IT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 제작·유통 방식의 혁신을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