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지난 24일 북한이 화성-17형(한·미는 화성-15형으로 결론) 시험발사 당시, 주한미군사령부가 합동참모본부의 대북(對北) 맞대응 훈련 요청을 거부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당분간 대북 ‘로키(절제된 대응) 기조’가 유지될 전망이다.
28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누구도 멈춰 세울 수 없는 가공할 공격력, 압도적인 군사력을 갖춰야 전쟁을 방지하고 국가의 안전을 담보하며 온갖 제국주의자들의 위협 공갈을 억제하고 통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계속해 우리의 국방건설 목표를 점령해나갈 것이며 강력한 공격수단들을 더 많이 개발해 우리 군대에 장비(배치)시키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1월 8차 노동당대회에서 핵무기의 소형·경량화, 전술무기화를 강조하면서 전술핵 무기 개발과 초대형 핵탄두 생산 등을 주요 과업으로 제시한 바 있다.
특히 북한은 4년 전 폭파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3번 갱도를 복구하기 위해 갱도 내부로 가는 통로를 새로 굴착하는 등 핵실험을 위한 사전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우리 측 단독으로 하기로 정책 결정이 이뤄진 사안”이라며 이 또한 한·미 공조하에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는 주한미군이 지난 2017년 북한 화성-15형 발사 당시에는 즉각 연합훈련을 실시했다는 점에서 옹색한 해명이라는 지적이다. 오히려 미측이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내기 위해 모르쇠하고 있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우선순위에 북한이 없다. 대화나 제재를 통해 도발을 막아야 하는데 수동적으로 조치하고 있다”며 “전략적 인내가 아닌 전략적 방치 수준이다. 이렇게 되면 한국만 힘들어지게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