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아태금융포럼] 우크라·팬더믹 등 글로벌 위기, 동아시아 주도로 돌파해야

2022-03-16 14:22
  • 글자크기 설정

볜융쭈(卞永祖) 칭화대학교 전략 및 안전연구센터 교수가 '금융시장 정상화, 그리고 신흥국의 위기'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고 있다.[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서방 국가들이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고 러시아-우크라이나의 갈등이 계속된다면 글로벌 공급망과 산업 사슬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는 전 세계의 경제 성장세도 지연시킬 것이다."

볜융쭈 칭화대학교 전략 및 안전연구센터 교수는 최근 글로벌 경제를 위기로 몰고 있는 우크라이나 전쟁 상황에 대해 유화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 과정에서 동아시아 국가가 연대를 통해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게 볜 교수의 주장이다.
볜 교수는 최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언급한 '대변국'은 동아시아 경제 세력의 전반적인 부상이라고 설명했다. 볜 교수는 "동아시아와 유럽 그리고 북미 중 동아시아의 경제 규모가 가장 크다"며 "국가 간 경제 협력의 규모나 협력 의지의 측면에서 봤을 때 동아시아의 경제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배경 아래에 최근 세계 경제의 흐름을 읽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현재 서방 국가들이 직면하는 통화정책 정상화의 압박이 더 크지만 정책을 통제하고 정상화하는 단계도 변경될 수 있어 실제로 세계 경제에 더 큰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코로나19도 여전히 위기다. 볜 교수는 "현재 전 세계의 팬데믹 상황을 보면 여전히 줄어드는 상태가 아니라 아직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일일 감염자 수는 여전히 증가 추세이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봤을 때 세계 경제가 완전히 회복되기는 아직 매우 어렵다"고 경고했다.

볜 교수는 이런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 대변국 시대를 맞이한 동아시아 각국의 역할을 강조했다. 

볜 교수는 "큰 경제체의 통화정책이 경제 세계화라는 것을 알고 있듯이 각국의 통화정책은 다른 국가에 영향을 미친다"며 "세계 경제는 회복의 과정에 있으며 큰 불확실성에 직면해 있기 때문에 주요 경제체의 통화정책은 반드시 조정해서 시장의 큰 변동성을 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주요국들의 협력 강화 중요성을 강조했다. 볜 교수는 "현재 글로벌 산업 사슬 및 공급망은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다"며 "만약 국가 간의 무역마찰이 많아지면 필연적으로 기업의 생산과 경영에 큰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최근 동아시아 국가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경제 협력을 강화하고 협력 의지가 매우 강한 것을 알 수 있다"며 "이것이 바로 동아시아 경제의 활력소라고 생각하며 전세계 경제도 하나의 큰 경제체라고 생각하고 각 국가 간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셋째로는 동아시아 국가들이 경제 협력의 범위를 더 넓게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볜 교수는 "서방 국가에 비해 동아시아 경제의 성장세와 전망은 더욱 크고 잠재력도 커질 것"이라며 "중국이나 한국 일본 그리고 아세안 10개국 등 이 나라들의 국가 간 협력의 범위가 넓어서 글로벌 구도의 변화라는 큰 맥락에서 동아시아 국가들은 더욱 단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세계 경제가 당면한 불확실성과 직면하고 있는 일부 경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기도 동아시아 경제체가 단결하고 협력해 이러한 도전에 대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