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한미 정상 통화 계획 현재는 없다"

2022-03-02 09:57
  • 글자크기 설정

YTN·TBS라디오 잇따라 출연 "실무협상 진행 중"

韓, 러시아 제재 미온적 지적에 "이해 부족한 것"

이미지 확대
코스피가 소폭 하락 출발해 강보합 상태를 보인 2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한 직원이 우크라이나 침공 관련 뉴스를 보며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코스피가 소폭 하락 출발해 강보합 상태를 보인 2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한 직원이 우크라이나 침공 관련 뉴스를 보며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청와대는 2일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정상통화 계획에 대해 “현재는 없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오전 YTN라디오 ‘황보선의 출발 새 아침’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러시아 제재 관련 질문에 이같이 말한 뒤 “자연스럽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수석은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가 유럽에서 일어난 거니까, 그쪽을 중심으로 우선 순위가 정해져서 통화할 것”이라며 “우리도 자연스럽게 실무 협상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되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박 수석은 한국이 국제사회의 제재에 미온적이라는 일각의 비판에 대해선 “이해가 부족한 것”이라고 일축했다.
 
이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무력침공을 한 24일 즉시 대통령 메시지를 국민께 드렸다”면서 “우리는 어젯밤에도 우리 산업통상자원부와 미국 상무부 국장급 화상회의를 통해서 조율했고, 통상교섭본부장 방미하면서 조율하게 돼 있다”고 부연했다.
 
또한 “기획재정부 1차관이 미 재무부 부장관과 현지시간으로 지난달 28일 오전 9시 면담을 갖고 결정한 게 있다”면서 “미국 제재 대상인 7개 주요 러시아 은행 금융거래 중단을 한국 정부도 한다고 발표했다”고 강조했다.
 
박 수석은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과의 전화 인터뷰에서도 “FDPR(해외직접제품규칙 면제) 국가가 된다고 해서 모든 물자를 수출해도 된다는 뜻이 아니다”라며 “허가 기준에 따라서 수출을 러시아로 해도 되는지 여부를 미국이 심사하는 게 아니고 자국이 심사한다”고 밝혔다.
 
박 수석은 YTN라디오에서 “당연히 1987년 이후 대한민국 정부가 당연히 민주정부다”면서도 “그러나 내용적으로 (민주주의에) 실질적 증진이 있었다기 보다는 형식적 민주주의였다. 내용적으로 세계 무대에서 아주 진전된 민주주의 국가라고 주장을 못했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전날 서울 서대문구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 기념관에서 열린 제103주년 3·1절 기념식에서 문화예술 발전의 힘은 민주주의로부터 비롯됐다며 “첫 민주 정부였던 김대중 정부는 자신감을 갖고 일본 문화를 개방했다”고 언급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