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2차 회의에서는 '양자 기술로드맵 추진(안)', '양자기술 대형연구개발사업 추진방향'과 '2023년 양자기술 정부연구개발 투자 방향'을 보고했다.
정부는 10대 국가필수전략기술 중 선진국과 격차가 가장 큰 양자기술 분야에서 조속히 선진국을 추격하기 위해 양자기술 연구개발과 상용화를 동시에 추진하는 병행 전략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지난해 11월 민·관 합동 '양자기술특별위원회'를 발족한 바 있다. 양자 기술로드맵 수립을 위해 지난해 10월부터 민간 전문가 중심의 작업반을 구성하고 양자컴퓨팅, 양자통신, 양자 센싱 등 3개 분야 기술분류체계(안)을 도출했다.
향후 민·관 합동 기술로드맵 전문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기술별 달성목표, 단계적 추진방안을 담은 기술로드맵을 올해 하반기에 발표할 예정이다. 기술뿐 아니라 상용화까지 고려한 기술 로드맵 도출을 위해 과학기술 외에 산업 및 국방·안보부처들도 공동으로 참여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선도국 대비 규모가 작고 투자 전략이 부족한 상황이다. 국내 산‧학‧연 역량을 결집한 양자기술 대형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양자 기술 대도약(퀀텀 점프)의 기회를 도모할 필요가 있따.
이를 위해 이번 특위에서는 양자 기반기술, 양자컴퓨팅, 양자통신, 양자센서 등 분야별 원천연구와 사업화, 연구 인프라를 아우르는 10년 이상의 장기 대형 연구개발 사업 추진에 대해 논의했다.
한편, 이번 위원회에서는 글로벌 선도 연구그룹 중심의 연구거점 형성, 양자기술의 산업‧안보적 활용 탐색, 양자소자 지원 제작 인프라 구축, 국내 교육 인프라 확충, 한·미 정상회담 결과 후속 조치를 위한 국제협력 지원 등의 내용을 담은 '2023년 양자기술 정부 연구개발(R&D) 투자 방향(안)'도 논의했다.
이경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양자기술은 미래 산업 및 국가 안보 차원에서 반드시 주도권을 확보해야 할 필수전략기술이나 기술력 측면에서 벽이 높은 것이 사실"이라며 "이러한 기술 격차를 뛰어넘고 세계를 선도하기 위해 우리 현실에 맞는 연구개발 전략과 이에 따른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위해 민·관을 아우르는 국가 차원의 양자기술 청사진을 내실있게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용화까지 고려한 범부처 대형 양자기술 R&D 사업을 발굴해 힘있게 추진해 나가야 할 중요한 시점이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