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농지원부→농지대장'으로 전면 개편…수정 28일까지만 가능

2022-02-13 11:19
  • 글자크기 설정

농지 소유·이용 관리 강화위해 농가별 농지원부 필지별로 작성·관리

농지대장 전환 안내문 [사진=경기도]

경기도는 13일 농지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기존 농지원부가 오는 4월 15일부터 농지대장으로 전면 개편됨에 따라 기존 농지원부 수정은 오는 28일까지, 발급은 4월 6일까지만 가능하다고 밝혔다. 

도에 따르면 농지원부는 농지의 소유나 실태를 파악해 관리하기 위해 작성하는 장부로 농지의 소유·임대, 이용현황, 임대차 정보 등을 기록해 농업·농지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농지원부’는 49년간 농지의 공적장부로 기능을 해왔지만 2021년 10월 ‘농지법 시행령’이 일부 개정되면서 농지대장으로 이름이 바뀌게 됐다.

개정안에 따라 농지원부 작성기준은 현행 농업인에서 필지별 농지로 변경되고 작성대상도 현행 농가별 1000㎡ 이상의 농지에서 모든 농지로 변경되며 농지원부 작성·정비 행정청을 농업인 주소지에서 농지 소재지로 일원화된다. 

농지대장으로 전환 시 대국민 정보활용 및 알권리 증진에 도움이 되도록 등기부등본, 건축물대장, 주민등록등본 등 11종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할 계획이다.

또한 농지원부 명칭을 ‘농지대장’으로 변경하고 농지의 임대차, 농축산식물 생산시설(축사, 곤충사육사 등) 설치 등 농지의 이용현황이 변경될 경우 60일 이내에 변경 내용을 관할 행정청에 신고하는 내용이 담긴 ‘농지법 시행규칙 일부 개정령안’도 오는 8월 18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도는 새로운 제도 시행에 따른 민원 불편사항이 없도록 기존 농지원부를 가지고 있던 농업인에게는 제도개선 사항을 우편, 홍보물 등을 통해 안내하고 있다.

기존 농지원부로 작성관리되던 농지는 2020년 1월 1일 이후 경작 사실 등이 확인된 농지에 한해 자동으로 농지대장으로 등록사항이 전환되며 농지원부의 수정이 필요할 경우 오는 28일까지 수정 신청하도록 조치하고 관할 행정청에서는 기존 농지원부의 발급을 오는 4월 6일 중단할 예정이다.

농지대장은 오는 4월 15일 발급이 시작되고 기존 농지원부는 사본편철 당시 주소지 관할 행정청에 10년간 보관해 농업인이 원할 경우 기존 농지원부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황인순 도 농업정책과장은 “농지원부가 농지 대장으로 전면 개편되어 모든 농지를 대상으로 작성·관리하게 됨으로써 공부로서의 역할을 높이고 농지가 부동산 투기 대상이 되는 것을 막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