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2/07/20220207143326606668.jpg)
2월 7일 오전 서울 한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교육부는 7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2학년도 1학기 유·초·중등·특수학교·대학의 방역·학사 운영 방안'을 발표했다. 전국적인 밀집도 기준에 따른 일괄적 학사 운영에서 학교 규모와 학교급·학년·학급 등 현장 특성에 따른 탄력적 대응으로 전환하는 것이 핵심이다.
우선 교육부는 오미크론 확산에도 신학기 정상 등교를 원칙으로 제시했다. 등교를 통한 대면 수업을 원칙으로 하겠다는 얘기다. 다만 학교 내 확진자가 늘면 학교 구성원들이 협의해 자율적으로 수업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전국 확진자 수에 따른 학교 밀집도 기준에 따라 교육부가 일괄적으로 원격수업으로 전환할지 결정했다. 그러나 다음 달 시작하는 신학기부터는 지역이나 학교의 여건과 특성을 반영해 수업방식을 결정하고 운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교생이 600명인 학교에서 20여명의 신규 확진자나 100여명의 격리자가 나오면 일부 교육 활동을 제한할 수 있다. 두 가지 지표를 모두 넘었을 때는 일부 원격수업 전환도 가능하다. 이때도 지역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전환할 수도 있고, 확진자가 집중적으로 나온 일부 학년·학급에 대해서만 수업 방식을 전환할 수도 있다.
교육부는 오미크론 확산에 대응해 학교 방역지침도 보완했다. 학교의 자율성을 강화한 게 특징이다. 일단 학내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면 학교 자체 조사로 밀접접촉자를 검사·관리한다. 이를 위해 각 교육청 예산으로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학생·교직원의 20% 수준으로 확보한다. 상대적으로 미접종자가 많은 유치원과 초등학교에는 추가로 10%를 구비하기로 했다. 현장이동형 신속 PCR 진단검사실을 설치해 진단검사 시간을 단축하고 이동 검체팀도 병행 운영한다.
교육부는 교원이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아도 수업이 원활히 운영될 수 있도록 추가 인력을 더 투입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학교가 원활히 운영되도록 초·중등 교과 정원의 3.5%(1만여명)까지 기간제 교원 투입, 특수학교 한시적 기간제 672명, 대학연계 예비특수교사 1200명 확보 등 수업·행정 대체 인력 운영계획을 세워 시행한다.
대학 학사 운영도 대면 수업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대면 활동 필요성이 큰 전공·실험·실습·실기·소규모수업 위주로 대면 수업 시행을 확대한다. 학기 중에 대면 혹은 비대면으로 수업방식을 변경할 때는 수강생의 의견수렴을 거치도록 해 학생의 학사운영 예측 가능성을 높이도록 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신속항원검사, 현장 이동형 신속 PCR검사를 새롭게 도입, 학교 내 감염위험을 최대한 낮추고 학사운영은 현장 중심의 대응 체계로 전환할 것"이라며 "올해 1학기 중 정상 등교하겠다는 계획은 오미크론 학생 확진율 흐름을 보면서 지속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