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인상에 나설 것이 확실시되면서, 4일(이하 현지시간) 채권시장에서 미국 10년물 국채이자율은 한때 1.93%까지 올라갔다. 약 2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특히 1월 발표된 미국의 고용 통계가 예상을 뛰어넘는 호조를 보이면서 연준의 금리 인상이 가속화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여기에 유럽중앙은행(ECB)의 크리스틴 라가르드 총재가 연내의 금리 인상을 배제하지 않는 태도를 보이면서, 독일 등 유럽 국채의 금리도 오름세를 보였다.
닛케이는 "미국에 이어 유로존에서도 금리인상의 압력이 커지면서 BOJ의 금융완화정책 역시 수정될 수 있다는 견해도 나오고 있다"면서 "일본 국채 수익률도 꾸준히 상승 압력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BOJ는 2016년에 도입한 장·단금리 조작을 통해 일본 10년물 국채의 이율이 0% 정도를 유지하도록 국채의 구입액을 조정하고 있다. 다만 2021년 3월부터는 상하 0.25% 정도의 변동은 허용했다. 그러나 최근 금리 상승이 속도를 내면서, 상한선인 0.25%에 가까워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에 이어 유럽마저 금융완화정책에서 변화를 보이고 있지만, BOJ는 여전히 강력한 금융완화 정책을 이어갈 것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일본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목표치인 2% 안팎에서 안정되는 것은 아직 멀었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BOJ는 이미 1월 금융정책결정회의를 통해 물가안정 목표를 안정적 지속적으로 달성할 때까지 금융완화를 지속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또한 금융당국의 정책 의도를 시장이 오해하지 않도록 잘 전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최근처럼 10년물 국채의 금리가 높아져도 일본은행이 조치에 나서지 않을 경우, 시장은 중앙은행이 금리 상승을 용인한다고 판단할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다만 이 같은 BOJ의 완화정책에 대한 집착은 일본의 소비를 위축시킬 위험도 있다. 국외에서는 금리 인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일본만 금리를 억제할 경우 국내외 금리차가 벌어지기 때문이다. 결국 일본 통화인 엔화가 약세를 보일 수밖에 없다. 엔화 약세는 수입품 가격 상승을 부추기면서 물가상승 압력을 늘린다.
닛케이는 "임금 상승이 둔화된 가운데 에너지 가격 상승도 겹쳐 엔화 약세가 가계와 수입 기업에 부담을 주기 쉽다"면서 "엔화 약세가 지속될 경우 소비 의욕이 꺾일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