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1/26/20220126165627600226.jpg)
박진규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오른쪽 세 번째)이 26일 서울 대한상의에서 열린 러시아-우크라이나 정세대비 관련 실물경제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정세불안과 관련, 수출을 비롯한 주요 업종별 영향과 에너지 수급 등을 점검하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를 중심으로 제18차 산업안보 TF(테스크포스)를 26일 개최했다. 회의는 박진규 제1차관 주재로 진행됐다.
특히 반도체‧조선‧가전 등 주요 업종별 단체와 에너지‧자원 공공기관, 대한상의, 코트라‧산업연 등이 참석해 관련 동향을 심층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우리나라가 러시아‧우크라이나와의 교역규모가 크지 않은 점 등을 감안, 실물경제에 대해 단기적·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이란 의견을 냈다.
전반적으로는 공급망‧생산 등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의존도가 높지 않으나, 개별 기업 차원에서 일부 피해가 갈 가능성도 열어뒀다.
재고‧비축물량의 충분한 확보로 에너지 수급영향도 제한적일 것으로 평가했다. 다만, 국제가격 상승으로 인한 국내 기업의 채산성 악화 등 영향 가능성도 있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박 차관은 "항상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만반의 준비를 갖추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박 차관은 산업계에 대해 기업별 업무지속계획(BCP) 가동을 상시 준비하는 한편, 원자재 수급 안정 노력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한편, 무력 충돌 발생 시에는 박 차관을 본부장으로 업계·공공기관 등이 참여하는 '실물경제안보 대책본부'를 즉각 구성하고, 관계부처와도 협력하여 빈틈없이 대응해 나가겠다는 계획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