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1/11/20220111114251982883.png)
이성호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금융통계부장이 11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2021년 11월 국제수지(잠정)의 주요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사진=한국은행]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수출 호조 속 운송수지 개선으로 19개월 흑자를 기록했다. 그러나 원자재 가격 상승 여파로 상품수지 흑자폭이 다소 둔화됐다. 2021년 연간 경상수지 발표가 12월 한 달분만을 남겨둔 가운데 당초 한은이 전망했던 920억 달러 흑자를 달성할지 여부는 더 지켜봐야 한다는 평가다.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국내 경상수지 규모는 71억6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경상수지는 국가 간 상품, 서비스의 수출입과 함께 자본, 노동 등 모든 경제적 거래를 합산한 통계로, 2020년 5월 이후 19개월째 흑자 행진을 이어간 것이다. 다만 경상수지 흑자폭은 전년 동월보다 20억2000만 달러 줄었다.
경상수지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상품수지는 수출과 수입의 차로 가늠할 수 있다. 이 중 수출 부문은 596억5000만 달러 흑자로 전년도에 비해 127억4000만 달러(27.1%) 증가했다. 특히 석유제품(127%), 반도체(38.8%), 화공품(35.8%), 철강(33.7%), 정보통신기기(32.9%) 등이 글로벌 경기회복 속 높은 증가세를 나타냈다.
수입은 537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67억4000만 달러(45.3%) 늘었다.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원자재 수입이 급증하고 자본재와 소비재 수입도 확대흐름을 이어가면서 12개월 연속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원자재 통관수입이 72.9% 늘었는데 특히 석유제품이 192%, 가스가 165% 급등했다. 자본재와 소비재 수입도 각각 24.2%, 18.2% 올랐다.
서비스수지는 1억4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1년 전 9억8000만 달러 적자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적자폭이 8억4000만 달러 줄어든 것이다. 이 중 운송수지는 수출운임 상승에 따른 운송수지 확대로 1년 전보다 12억6000만 달러 증가한 17억1000만 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실제 선박 컨테이너선운임지수(SCFI)는 11월 기준 4562로 전년 대비 143% 상승했고 항공화물운임지수(TAC) 역시 89% 상승했다.
우리나라 국민이 벌어들인 임금과 배당·이자 흐름을 반영한 본원소득수지 흑자규모는 전년 동월 대비 10억1000만 달러 늘어난 14억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자본 유출입을 나타내는 금융계정 순자산은 11월 중 65억4000만 달러 늘었다.
한편 2021년 연간 경상수지가 한은 전망치(920억 달러)를 달성할지 여부는 더 지켜봐야 한다는 평가다.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12월 경상수지가 78억 달러 이상 흑자를 기록해야 한다. 이 부장은 "앞서 적자를 기록한 무역수지에 해외생산수출부문을 더 집계해야 하는 점, 11월 해외생산수출이 최대 실적을 보인 부분도 반영돼야 하는 만큼 상황을 더 보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